中 흑연 수출 통제… 정부, 배터리업계와 원팀 대응 나서
김동욱 기자
10,307
공유하기
|
정부가 배터리업계와 2차전지 핵심소재인 음극재 생산에 필요한 흑연 수급 협력에 나선다. 중국의 수출통지 조치에도 흑연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겠다는 목표다.
1일 정부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 포스코퓨처엠, 배터리협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센터 등과 흑연 공급망 확보를 위해 협력할 방침이다.
정부와 업계의 협력은 중국 흑연 수출통제 조치 영향이다. 중국은 이날부터 고순도(순도 99.9% 초과), 고강도(인장강도 30Mpa 초과), 고밀도(밀도 ㎤당 1.73g 초과) 인조흑연 재료·제품 등의 수출을 통제한다. 국가 안보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게 중국 상무부 설명이지만 실상은 미국의 반도체 제재에 대한 보복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중국 상무부의 수출통제 발표 이후 산업부-유관기관 합동 흑연 수급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는 등 업계의 흑연 공급망 확보를 지원했다. 한·중 상무장관 회담 등 통상당국 간 협의도 지속했다.
지난달 8일에는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인조흑연 생산공장 증설을 위한 인허가 신속처리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같은 날 탄자니아를 방문해 흑연광산 프로젝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업계도 수출통제 시행 전 흑연 추가 물량을 확보했다. 업체별로 3~5개월분의 재고를 확보했으며 공급망 다변화도 지속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흑연 수급에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만일의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