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안보실장 "GP 복원에 유엔사와 협조하고 있다"
김노향 기자
1,800
공유하기
|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북한의 사실상 남·북 군사합의 파기 선언으로 신형 무기를 접경지역에 배치하는 지 보겠다"고 밝혔다. 그는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방사포 종류가 될 가능성이 있어 이런 것을 배치하는지 볼 것"이라고 말했다.
조 실장은 3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북한의 향후 행보에 대해 이 같이 전망했다. 조 실장은 고체연료 IRBM 발사 재도전 가능성과 SLBM 발사를 위한 잠수함, 순항 미사일 등을 통한 도발 가능성을 언급했다.
조 실장은 최전방 감시초소(GP) 복원 과정에 일어날 수 있는 충돌 가능에 대해 "GP 때문에 충돌이 생길 거라 생각하진 않는다"며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간에 연락선이 있어야 된다"고 덧붙였다. 다만 "그래서 어렵게 군 통신선을 개설했지만 북한이 끊어버렸다"며 "서로 연락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을 열어놓자고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GP 복원에 대해 유엔군사령부(유엔사)와 협조가 잘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실장은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북한은 169개의 GP가 있었고 우리는 78개가 있다"며 "11개씩 제거한 것이 우리에게 불균형하다"고 말했다.
조 실장은 "우리는 과학화 경계 장비를 다 가진 군사적 가치가 높은 GP이고, 북한의 GP는 첨단 장비가 없고 무기와 병력만 있다"며 "우리가 복원하지만 불행히도 복원에 시간이 걸린다"고 전했다.
조 실장은 이어 "1단계에서 임시 GP 복원을 해 군과 최소한의 장비로 GP를 지키고 다음 단계에서 과학화 첨단 장비, 그 다음에 감시 장비를 다 가진 GP를 조만간 복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