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왼쪽)이 6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에서 요소 수급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김근수 기자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왼쪽)이 6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에서 요소 수급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김근수 기자


중국이 한국으로 수출하는 산업용 요소의 수출을 제한하면서 업계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제2의 요소수 대란'을 막기 위한 대안 마련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장영진 1차관은 이날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을 방문해 요소수 재고 및 판매 현장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국내 1위 요소수 생산기업인 롯데정밀화학도 함께했다.

장영진 차관은 참여기업들과 면담을 갖고 "국내 재고 및 중국外 계약물량으로 3개월분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며 "이미 수입대체선이 확보돼 있어 기업들도 추가 물량 확보가 가능한 만큼 2021년과 달리 충분히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수입선다변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기업들이 제3국으로 수입 다변화 시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비축 물량도 과감히 확대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차량용 요소의 안정적 수급에 문제가 없다"며 "국민들께서도 안심하시고 필요한 물량만 구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참석한 롯데정밀화학은 이번주 베트남산 요소 5000톤을 추가 계약했으며 중동·동남아 등에 다양한 수입대체선이 이미 확보돼 있다고 밝혔다.


롯데정밀화학 이번 계약분은 기존 3개월분에 반영되지 않았던 신규 물량이며 이를 포함시 현재 3.7개월분의 물량이 확보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