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광화문 세종대로 일대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을 서두르고 있다./사진=뉴스1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 일대에서 시민들이 출근길을 서두르고 있다./사진=뉴스1


20~50대 직장인 절반은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을 가진 '꼰대'가 될 것을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뉴스1에 따르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국 만 19~59세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23 꼰대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꼰대라고 하면 생각나는 이미지'를 묻는 말(중복응답)에 '권위적'이라는 응답이 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집이 세다'(58.7%) ▲'말이 통하지 않는다'(53.7%) ▲'참견하기 좋아한다'(44.2%) 등의 순이었다.

꼰대인지 알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는 ▲'굳이 안 해도 될 조언·충고를 한다'(57.8%) ▲'요즘 젊은 애들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50.7%) ▲'옛날에 비하면 나아졌다는 말을 종종 한다'(49.5%) 등의 응답이 나왔다.


꼰대 성향을 가늠할 수 있는 요소로는 '말투'가 87%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가치관'(75.9%) ▲'오지랖'(7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는 '나도 언젠가 꼰대가 될 것 같다'고 응답했고 44.8%는 '꼰대가 될까 두렵다'고 답했다.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태도로는 ▲'내 가치관이 틀릴 수 있음을 인정'(56%) ▲'잘못된 부분을 고치려는 태도'(45%) ▲'나이·지위로 대우받으려 하지 않는 태도'(44.1%) 등의 응답이 나왔다.

또 조직에서 꼰대 성향이 강한 사람의 특징을 묻는 말에는 '능력은 없으면서 대접받기를 바란다'는 응답이 61.3%로 가장 많았으며 ▲'자기 생각에 대해 강한 확신이 있다'(50.8%) ▲'서열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44.6%) 등의 순이었다.


다만 '자신보다 더 편하게 일하는 후배를 못마땅하게 여긴다'는 '꼰대의 특징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은 20·30대의 경우 각각 74.8%, 71.6%였지만, 40·50대는 각각 64.0%, 54%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