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왼쪽)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6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만나 악수를 나눈 후 고개를 돌려 자리에 앉고 있다. (공동취재) 2023.12.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왼쪽)와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6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만나 악수를 나눈 후 고개를 돌려 자리에 앉고 있다. (공동취재) 2023.12.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11일 당 최고위원회의에 '지도부·친윤(친윤석열)·중진 의원 험지 출마 또는 불출마' 내용을 담은 마지막 혁신안을 보고하고 활동을 마무리한다. 당초 계획보다 2주 빠른 조기 해산이다.


당은 혁신위 활동 종료와 함께 공천관리위원회 출범에 속도를 내서 당 혁신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혁신위 활동 조기 해산에 대한 '김기현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한동안 당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혁신위는 이날 그동안 발표한 혁신안을 종합해 최고위에 보고한다. 보고에는 혁신위와 지도부 간 갈등 원인으로 지목된 험지·불출마 내용도 담긴다. 당 지도부가 혁신위의 안을 사실상 수용하지 않은 채 당초 24일까지 예정됐던 혁신위 활동이 2주가량 빨리 마무리되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현재 혁신위의 조기 해산에 따른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다. 당내에서는 조기 해산에 대한 '김기현 책임론'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진 모습이다.

책임론을 주장하는 측은 혁신위에 '전권'을 약속한 김 대표가 혁신위의 험지·불출마 제안을 외면하면서 혁신 동력을 상실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혁신위 제안이 현실정치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반론이 나오지만, 김 대표가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자신의 지역구에서 의정보고회를 여는 등 양측의 갈등을 부각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같은 비판 속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에 대한 이야기도 여권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비대위원장으로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한동훈 법무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

한편에는 김 대표 책임론은 내부총질이란 비판도 나온다. 총선을 4개월 남겨둔 상황에서 최고위와 공관위 등에서 혁신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만큼 김 책임론이 과하다는 주장이다. 비대위의 경우 총선까지 남은 시간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은 만큼 김 대표를 중심으로 단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도부는 조기 공관위 출범을 통해 이같은 논란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지도부는 통상 선거가 치러지는 해의 1~2월 출범하던 공관위를 빠르면 이달 중순, 늦어도 연내에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선거의 핵심인 공천을 다룰 공관위를 통해 모든 논란을 잠재우겠다는 복안이다.

공관위원장으론 윤 대통령의 멘토그룹인 안대희 전 대법관을 비롯해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