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3월2일 부산 동구 범일동에 위치한 국제고무공업주식회사에 대형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당시 국제고무공업주식회사 공장의 모습. /사진=부산역사문화대전
1960년 3월2일 부산 동구 범일동에 위치한 국제고무공업주식회사에 대형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당시 국제고무공업주식회사 공장의 모습. /사진=부산역사문화대전


1960년 3월2일. 부산 동구 범일동 국제고무공업주식회사(LS네트웍스 전신)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이날 사고로 62명이 사망하고 39명이 부상을 입는 인명 피해가 났다. 또 당시 1억환의 재산 피해도 입었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약 10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당시 부산을 대표하는 기업이었던 국제고무공업은 이 사고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100여명의 사상자를 낸 국제고무공장 화재 사고는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은 산업재해로 기록됐다.


잘 나가던 공장이 하루아침에 불길에 휩싸이면서 전국은 큰 충격에 빠졌다. 도대체 그날 그곳에선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장난으로 켰던 성냥불이 일으킨 대참사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는 신입 여직원의 성냥 장난에서 시작됐다. 사진은 국제고무공장에서 일하던 직원들의 모습. /사진=부산역사문화대전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는 신입 여직원의 성냥 장난에서 시작됐다. 사진은 국제고무공장에서 일하던 직원들의 모습. /사진=부산역사문화대전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는 안일함에서 비롯됐다. 당시 군화를 만들었던 국제고무공업에는 인화 물질이 많았다. 고무, 접착제 등이 사방에 널려있었다. 자칫하면 불이 나기 좋은 환경이었지만 그에 대한 대비는 없었다.


국제고무공장에 신입으로 입사한 이필선씨는 작업대 위에 있던 미국제 황화인 성냥을 보고 장난삼아 불을 켰다. 그러다 옆에 있던 동료 직원이 제지하는 것에 놀라 주변에 있던 연료통에 그만 성냥을 떨어트렸고 불은 순식간에 시작됐다. 특히 주변에 있던 고무풀과 접착제에 불이 붙으면서 크게 번졌다. 무엇보다 공장 내 공기에는 유증기가 가득 차 있었고 이로 인해 불은 공장 전체를 삽시간에 삼켜버렸다.

이 같은 환경을 감안하더라도 사상자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출입구로 직원들이 몰려 제때 빠져나오지 못했기 때문이다. 2층에서 근무하던 직원 300여명이 출입구로 한 번에 몰리면서 불이 난 공장을 빠져나오지 못한 것이다. 2층 공장 출입문은 총 4개였지만 1곳은 불이 난 곳과 가까웠고 1곳은 문이 잠겨 있어 나올 수 있는 출입구는 2개에 불과했다.


그마저도 감독관이 탈출하는 것을 막아 사고를 더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감독관이었던 이창선씨는 직원들이 비상구로 몰리자 그들을 막아 서며 자리로 돌아가라고 소리쳤다. 그 때문에 빠져나가지 못한 직원이 많았다. 심지어 몰리는 사람들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한 계단이 무너져 다친 사람도 속출했다. 이날 화재는 주·야간 근무 교대가 이뤄지던 오전 7시30분쯤 발생해 사상자가 더 많았다.

특히 부산진시장 안에 있던 공장은 입구가 좁고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 소방차 진입이 어려워 초기 진압에 실패했다. 불이 나기 시작한 지 약 3시간 만에 진화됐지만 좁은 출입구와 초기 진압의 어려움 등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후였다.


불은 꺼졌지만… 사고의 아픔은 여전

불을 냈던 이필선씨는 중실화 혐의로 기소됐다. 또 대피하던 직원들을 막아선 이창선씨, 이필선씨를 관리·감독했던 손용하씨는 업무상과실 혐의로 기소됐다. 반면 국제고무공업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았다.

화재 사고가 발생한지 3일 후인 1960년 3월5일에는 희생자의 합동 장례식이 치러졌다. 그러나 너무 급하게 장례식을 진행해 시신 11구가 도착하기도 전에 장례가 치러져 유가족의 분노를 샀다.

국제고무공업은 사상자들에게 위자료를 주겠다고 밝혔으나 지급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이에 유족 200여명이 항의 시위까지 벌였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혁명이 터지면서 이 사고는 묻혀버렸다. 피해자들과 유족들은 사고 이후에도 고통받았다. 제대로 된 보상도 받지 못한 한국 역사상 가장 많은 이의 생명을 앗아간 산업재해는 그렇게 역사 속으로 잊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