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 '지도 거부' 움직임… 뾰족한 대응책은 '아직'
정부, 일부 보이콧 의견에 '유감의 뜻'
원활한 수련 위해 '협조' 요구하는 수준
관련 사항 내부 검토 방침
김동욱 기자
1,395
공유하기
|
일부 의과대학 교수들이 올 하반기 모집 전공의에 대한 교육·지도를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책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교육·지도 거부 교수들에 유감의 뜻을 밝히면서도 교수들의 협조 외에 자세한 해결 방안을 언급하지 않았다.
24일 정부에 따르면 권병기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비상대응반장은 전날 브리핑을 통해 "일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이번에 뽑은 전공의를 제자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전공의를 위축시키는 일부 교수님들의 입장에 정부는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출신 학교나 병원으로 제자들을 차별하겠다는 성명은 의학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자로서 온당한 태도가 아니다"라며 "헌법적으로나 인권적 가치에도 반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오는 31일까지 하반기 전공의 모집 절차를 시행할 계획이다. 다음 달 중 수련병원별 선별 절차를 완료하고 오는 9월부터 하반기 수련을 시작한다.
앞서 세브란스 병원 등을 수련병원으로 둔 연세대 의대 교수 비대위는 입장문을 통해 하반기 모집 전공의들을 제자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 그었다. 가톨릭대·고려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 의대 등 6개 의대 교수 비대위 위원장들은 공동으로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다.
의대 교수들의 전공의 교육·지도 거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나 정부는 교수들에 협조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대응하고 있다.
권 반장은 대응책 관련 질문에 "교수 대부분이 환자의 불안과 불편을 외면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공의들을 위해 하반기 수련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최대한 협조해주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부분(전공의 교육·지도 거부)이 가시화할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관련 사항들을 검토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전공의 관련 정책을 심의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전공의 위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음 달 12일까지 관련 입법예고를 진행하고 이르면 오는 11일부터 수평위 전공의 위원을 확대할 방침이라는 게 권 반장 설명이다.
권 반장은 "장기간 지속하는 의료 현장 혼란에도 정부의 의료개혁을 지지해 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 드린다"며 "의료 현장 최전선에서 환자 생명을 지키고 계신 의사, 간호사 등 현자 의료진분들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