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관계자들이 빈대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3.11.17/사진=뉴스1
17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관계자들이 빈대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3.11.17/사진=뉴스1


행정안전부와 국토교통부, 질병관리청은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빈대의 국내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관이 협력해 소독과 방제 활동을 강화한다고 7일 밝혔다.


'2024 파리 하계올림픽·패럴림픽'을 계기로 전 세계인이 프랑스 파리로 모이는 만큼, 대회 이후 빈대가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 출입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에서 빈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항공기와 공항 내 주요 시설을 중심으로 방역 소독과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항공기 소독은 파리-인천 노선을 중심으로 기존 월 1회에서 주 1회로 강화한다. 기내에서 빈대가 발견되면 공항검역소에 통보해 구제 조치한다.


공항 소독은 이용객이 많은 환승 라운지, 입국장 등 주요 구역에 대해 기존 월 1회에서 주 1회로 강화하며 휴게공간 및 수하물 수취구역 등 주요 접점 시설에는 빈대 트랩을 설치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빈대 예방수칙/이미지제공=질병관리청
빈대 예방수칙/이미지제공=질병관리청


세스코에서 사회공헌 차원에서 지원하는 '빈대 탐지 및 방제 지원 부스'를 오는 9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운영한다.(위치는 인천국제공항 T2 1층 게이트 B와 출입구 4 사이)

부스에는 빈대를 탐지하기 위해 시범 도입한 빈대탐지견(1두)과 10년 이상 빈대 방제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가 배치된다. 빈대가 출몰하는 지역에 있었거나 빈대에 물린 경험이 있는 입국객들은 부스에서 신속히 빈대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전문가에게 방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지난해 설치한 '위생해충 방제쉼터'도 계속 운영하고, 빈대 예방수칙 홍보도 강화한다. 방제쉼터에는 의류·수하물 등을 고온*(50℃) 건조할 수 있는 열풍기 총 10대(T1 8대, T2 2대)가 갖춰져있다. 빈대 물림 경험이 있는 승객들은 열풍기를 활용해 빈대를 제거할 수 있다. 인천공항 검역소 검역대와 해외 감염병 신고센터 등 49개 장소에서는 모니터 등을 활용해 빈대 예방수칙을 홍보할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빈대는 발견되면 방제가 어려워 사전에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민관 협력을 통해 공항에서부터 선제적으로 차단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