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뱀 물림·벌 쏘임' 많아… "이렇게 대처하세요"
신용카드 등으로 '벌 독침' 제거부터… 아나필락시스 '주의'
"뱀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해야"
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
추석 명절 벌초나 성묘를 하다가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려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많다. 독성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리면 심할 경우 아나필락시스(알레르기 과민반응) 등으로 사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16일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 동안 벌에 쏘여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총 4532명이다. 그 가운데 111명이 입원하고 15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 쏘임 증상은 벌의 종류와 쏘인 횟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 벌에 쏘였을 경우 벌에 쏘인 부위에 통증·부기·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보통 1~2일이 지나면 증상이 사라진다.
벌에 쏘였을 경우 신용카드나 핀셋 등으로 신속히 환부의 벌침을 제거해야 한다. 독침 끝에는 독주머니가 달려있어 환부를 계속 자극하기 때문이다. 얼음주머니 등 차가운 것으로 붓지 않게 하며 증상이 악화하는지 경과를 관찰해야 한다.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이면 히스타민이 과도하게 분비되고 혈액이 지나치게 빠져나와 혈압이 떨어지고 몸이 붓게 된다. 이 경우 응급조치를 하지 않으면 1시간 이내에 쇼크사할 수도 있다. ▲피부 가려움 ▲부기 ▲식은땀 ▲두통 ▲구토 ▲어지로움증 등 통증이 지속되거나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같은 기간 뱀에 물려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808명으로 나타났다. 뱀물림 사고는 입원 비율이 62%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월별로 살펴보면 뱀물림 손상은 ▲9월 21.9% ▲8월 17.8% ▲7월 17.2% 순으로 발생했다.
뱀물림 손상은 야외·강·바다(43.9%)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고 농장·일차 산업장(27.5%)과 집(13.9%)에서도 발생했다. 집에서 발생한 뱀물림 손상을 살펴보면 ▲정원·마당에서 물리는 경우가 54.5% ▲분리수거장과 같은 기타 옥외 공간이 17% ▲방·침실이 15.2% 순이었다.
만약 뱀에 물렸다면 뱀의 모양과 색깔 등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 ▲독니 자국 ▲출혈 ▲사지 감각 이상 ▲운동·혈액순환 이상 ▲구역질 ▲구토 등 독사에 물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병원으로 이동할 때는 물린 부위를 심장 보다 낮게 내리고 환자를 최대한 움직이지 않게 하고 병원으로 이동하는 게 좋다. 입으로 독을 빨아낸다는 행위 등은 삼가고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독을 빨리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