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 기반 ‘KARE’ 서비스 시연./사진=한전KPS
생성형AI 기반 ‘KARE’ 서비스 시연./사진=한전KPS


한전KPS가 자체 개발한 오픈 대형 언어 모델(LLM)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구축해 미래 지향적 전력 유지보수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26일 KPS에 따르면 KPS는 지난해 초거대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R&D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1년간 자체 인력을 투입해 생성형 AI 서비스 'KARE(KPS Ai Robot Engineer)'를 개발했다.

통상적으로 공공기관의 AI 서비스는 전문 인력 부재 등의 한계로 외부 개발 업체에 용역을 맡겨 개발하지만 한전KPS는 사내 연구개발(R&D) 조직인 종합기술원 인력으로 자체 개발했다. 이를 통해 비용과 시간 절감은 물론 보안이슈까지 해소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한전KPS의 R&D·원자력 개발 관련 직원들은 'KARE'를 통해 각종 보고서나 논문 등을 빠르게 요약·분석·번역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문서 작성이나 아이디어 기획 과정에서 외부 정보·기술 유출 걱정 없이 '디지털 동료엔지니어'를 활용하고 있다.

김홍연 한전KPS 사장은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KARE'는 한전KPS와 같이 산업·정보 보안에 민감한 다른 공공기관의 고민 해결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디지털 정비 지원 플랫폼을 더욱 고도화해 발전 정비 분야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미래 정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