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참전' 목소리 높아져… 미 국방부 "한국 위험해" 신중
유찬우 기자
1,472
공유하기
|
미국이 우크라이나 파병에 관해 다소 온건적인 입장을 내놨다.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복수의 현지 매체에 따르면 사브리나 싱 미국 국방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전쟁에 참전할 경우 미군을 투입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즉답을 피했다.
싱 부대변인은 "가정적인 얘기는 하지 않겠다"며 " 북한군이 러시아에서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 없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러시아 사이에 분명한 연결고리가 있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아직 우리가 알고 있는 부분이 전부가 아니기 때문에 계속 상황을 주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날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북한군 파병을 인정한 것 외에 새로 밝힐 내용은 없다"고 일축했다.
미국은 전날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후 미국 내에서는 강경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화당 소속 마이크 터너 미국 하원 정보위원장은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영토를 밟으면 미군은 이들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행동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미국 정부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모양새다. 미국이 참전할 경우 유럽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안보에도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단 우려 탓이다.
싱 부대변인은 "특히 한국은 더 영향권"이라며 "북한이 전투에 뛰어들 경우 러시아와 공동 교전국이 된다"고 우려를 표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유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