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국내 최초 재사용발사체 개발 본격화
"한국판 스페이스X 육성...안전성과 경제성 중점"
경남=이채열 기자
공유하기
|
정부가 향후 3년간 경쟁형 R&D(연구·개발) 방식을 도입해 '한국판 스페이스X'를 키운다는 계획으로, 내년 부터 민간 기업 중심으로 재사용발사체 개발에 들어간다.
우주항공청은 29일 경남 사천에서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들과 '혁신형 재사용발사체 핵심기술 선행연구 사업'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이를 위한 본격적인 개발 준비에 나섰다.
이번 공청회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 이노스페이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참여해 사업 추진 방향과 전략을 논의했다.
우주청은 올해 5월 개청 이후 스페이스X의 재사용발사체 성공 사례에 착안해 민간 주도의 메탄 기반 재사용발사체 기술을 3년간 경쟁형 R&D 방식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한국판 스페이스X 육성을 지향하며, 발사체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프로그램장은 "2030년대 대부분의 발사체가 재사용발사체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제조 역량과 누리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재사용발사체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이 성공하면 국내 우주산업의 비용 효율성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이 기대되며, 재사용발사체 시대를 열어갈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남=이채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