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철 부산시의원/사진=부산시의회
김형철 부산시의원/사진=부산시의회


부산시가 초고령화 도시로 진입했지만 고령친화산업 육성은 뒷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같은 문제점은 지난 18일 열린 부산시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 경제분야 종합감사에서 김형철 부산시의원에 의해 불거졌다.


20일 부산시의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종합감사에서 "부산시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에 달하면서 6대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지만 지역 기업들은 2030년 168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실버산업 시장 진입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의 지적대로 부산시의 고령친화산업 육성 대책은 더디기만 하다.


올해 고령친화산업 육성 시행계획에는 부산기업은 아예 없고 다른 시도 기업들만 있는 상황이다. 2025~2029년 중장기 부산시 고령친화산업 종합계획 육성 연구용역도 내년 2월에야 완료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산시의 고령친화용품 우수제품은 37개로 서울시(67개)나 경기도(202개)에 비해 턱없이 적다. 2017년부터 시작한 현장 중심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관 '나무그늘'이 7곳 밖에 되지 않고 올해 예산도 1억원에 불과하다. 2018년 6억원이던 부산시 고령친화산업 육성사업비는 올해 4억5000만원으로 줄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대표 지역사업인 '스마트빌리지 보급·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202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경로당'은 지난해까지 전국 13개 지자체에 889개소가 구축돼 있지만 부산시는 단 한 곳도 조성되지 않고 있다. 또 올해 부산시가 공모 예정이었던 '스마트경로당' 부문 '100세 시대 사물인터넷(AIoT) 기반 지역밀착형 건강돌봄 플랫폼 확산 사업'은 국비를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


김 의원은 "부산시가 고령친화산업 육성을 기업지원과 판로개척의 개념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지역의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맞춤형 복지와 첨단기술의 접목을 통해 실버산업 분야를 육성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사업의 국비 유치에도 총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고령화 시대의 핵심으로 자리를 잡을 '에이징 테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행정적 대응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