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계엄 위기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가 더 큰 우려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계엄 위기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가 더 큰 우려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밝혔다. 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계엄 위기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가 더 큰 우려라고 짚었다.

6일 공개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 총재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영향이 한국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단명했고 상대적으로 미미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과 해제로 인해 한국 경제와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구조 개혁"이 지연될 것이라고 그는 인정했다.


하지만 한국의 국내 정치적 위기가 경제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일축했다. 계엄 사태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은 "단기간에 그쳤고 상대적으로 소강 상태"라고 그는 강조했다.

오히려 중국의 경쟁 심화와 트럼프의 막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한국 수출에 미칠 잠재적 영향이 계엄령의 여파보다 크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총재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국내보다 외부 요인이 현재 우리 경제에 훨씬 더 큰 불확실성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트럼프의) 관세 위협은 우리가 올해 내년 전망치를 낮춘 주요 이유 중 하나"라며 "올해 수출 성장은 좋은 성과를 거뒀으나, 이제 우리는 두 가지 이유로 수출 성장 예상치를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나는 관세 가능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중국의 경쟁력이 정말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중국 내외에서 중국 상품 과잉공급이 매우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