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미입주 원인 1위는 '잔금대출 규제'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아파트 미입주 원인 1위는 '잔금대출 규제'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1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잔금대출 규제에 미입주 사태도 곳곳에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11월 전국 입주율은 69.0%로 10월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81.6%에서 82.3%로 0.7%포인트,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9.6%로 3.8%포인트, 도는 63.4%에서 63.6%로 0.2%포인트 올랐다.


수도권인 서울(81.2→ 82.5%), 인천·경기(81.8→ 82.3%) 입주율이 증가했다.

비수도권은 강원(53.3→ 60.0%), 대전·충청(65.0→ 72.9%), 제주(67.1→ 75.7%) 입주율은 상승했고 광주·전라(61.4→ 56.8%), 대구·부산·경상(67.4→ 65.7%)은 소폭 하락했다.


미입주 원인은 잔금대출 미확보, 기존 주택 매각 지연, 세입자 미확보, 분양권 매도 지연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잔금 대출 미확보(30.9→ 37.9%)는 7.0%포인트, 기존 주택 매각 지연(29.1→ 31.0%)이 1.9%포인트, 분양권 매도 지연(1.8→ 5.2%)은 3.4%포인트 뛰었다. 세입자 미확보(27.3→ 19.0%)는 8.3%포인트 떨어졌다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8.6%로 5.2%포인트(93.8→ 88.6%) 떨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은 11.3%포인트(101.9→ 90.6%), 광역시는 8.3%포인트(98.5→ 90.2%), 도는 0.5%포인트(87.1→ 86.6%)로 모두 하락세가 예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