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부남 의원, '상설특검법' 개정안 대표발의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서구을)이 9일 상설특검법이라 불리는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현행 상설특검법은 특별검사의 수사가 필요하다고 국회에서 의결한 사건에 대해 대통령이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에 2명의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을 지체 없이 의뢰하도록 하고 이후 대통령이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로부터 2명의 특별검사를 추천받으면 3일 내 1명을 특별검사로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과 계엄법이 규정한 요건과 절차를 무시하고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국회를 봉쇄해 의원 출입을 막고 의원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한 군대를 국회의사당으로 투입하는 등 내란을 범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경찰, 공수처가 각각 대통령과 관련자에 대한 내란죄 수사에 착수했으나 대통령, 고위공직자, 군인에 대한 수사권이 나누어져 있고 수사기관의 기존 행태에 비추어 수사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기대할 수 없어 상설특검을 통한 수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지난 5일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행위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수사요구안'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 요구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대통령은 상설특검 임명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여야 한지만 현 상황을 볼 때 윤 대통령이 본인을 수사할 특별검사를 임명할지는 미지수다.
개정안은 대통령이 상설특검법에 따른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을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에 의뢰하지 아니하거나 추천된 후보 중 1인을 특별검사로 임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국회의장이 특별검사후보추천위원회에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을 의뢰하도록 하고 대통령이 2명의 후보자를 추천받은 날부터 3일 이내 특별검사를 임명하지 않으면 연장자가 특별검사로 임명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양 의원은 "이번 내란 사건은 특검을 통해 해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상설특검법이 정한 절차를 대통령이 준수할 가능성이 없어 특별검사 임명 기준을 입법화한 것"이라며 "대통령이 이 법률마저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국민적 저항은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