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사 전경. /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사 전경. /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경기도내 과학고등학교의 추가 설립과 관련해 예비지정 결과가 나오면서 그동안 경쟁해 온 지자체들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11일 경기도교육청은 수원 광교청사에서 부천, 성남, 시흥, 이천 등 4곳을 설립 지역으로 선정한 예비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예비지정 이후 2단계인 특수목적고 지정·운영위원회 심의와 3단계 교육부 장관 동의 요청 등의 절차가 남아있어서, 4곳에 과학고를 설립하는 게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선정된 지자체들은 환호했다.

성남시는 분당중앙고의 과학고 전환과 함께 내세운 분당, 판교 지역 IT 관련 기관과 연계한 특화 교육과정을 다시 강조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성남시가 경기형 과학고 설립의 첫걸음을 내딛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판교 테크노밸리를 비롯한 지역 첨단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서 위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과학고 신설이 추진되는 시흥의 임병택 시장은 "창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경기형 과학고 예비지정에 선정돼 매우 기쁘다"고 환호했다.


김경희 이천시장도 "공모 신청서 제출 이후 지금까지도 시 곳곳에서 과학고 유치를 희망하는 퍼포먼스가 이어질 정도로 이천은 과학고 유치에 진심"이라며 반겼고, 이천이 지역구인 송석준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최종 지정까지 차질 없이 적극 지원하겠다"고 거들었다.

조용익 부천시장도 "과학고 설립을 위해 남은 공모 과정에도 끝까지 최선을 다해 부천시가 경기형 과학고 최적지임을 입증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예비지정 공모에서 선정되지 못한 다른 지역들은 아쉬움을 표했다.

용인시 관계자는 "당황스럽고 선정 안 된 이유에 대해 분석 중"이라며 "앞으로 지역 내에서 첨단기술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성시는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광명시는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들 지역은 각각 과학기술과 관련한 교육환경 발전, 과학고와 별개로 과학 인재 양성 등의 계획을 내비쳤다.

평택시와 구리시는 재도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고양 교육발전특구 지역특화 인재 육성 일환으로 과학고를 추진한 고양시는 "북부지역을 배려해 1곳 정도 선정하면 고양이 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고 아쉬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