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근 금융감독원의 대규모 인사를 두고 이복현 금감원장과 정무위원회 의원들이 설전을 이어갔다. 이복현 원장이 국장 75명 중 74명을 교체한 인사에 대해 "적절한 인사 조치"라고 주장한 반면 정무위원들은 내부 혼란이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18일 이 원장은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비상계엄 7일 후에 탄핵 논의로도 극도의 혼란 상태에서 전례 없는 대규모 인사를 할 특별한 이유가 있냐'는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경우에 따라서 (내년) 9·10월쯤 가야 리더십이 셋업될텐데 10개월이라는 기간이 당국 입장에서 보면 시장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런 중요 기간에 적절한 인사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10일 부서장 보직자 인사를 대폭 교체하는 '물갈이 인사'를 실시한 바 있다. 본부 및 지원부서 부서장 보직자 75명 중 74명(91.4%)이 이동·승진을 통해 재배치됐다. 특히 본부 부서장들은 절반 이상이 신규 승진자로 발탁됐다.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에 금감원 내부가 혼란하다는 비판이 나오자 이 원장은 "인사는 다들 말이 많지 않겠나"라며 "인사 관련 문제는 (국회에) 보고할 사안이 아닌 것 같다"고 답했다.

이날 정무위 회의에 출석한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경제는 정치와 분리해서 운영한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 참석 통보는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비상계엄이라는 중차대한 사안 속에 금융 수장을 국무회의에서 제외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경제부총리가 총괄하는 측면이 있고 의결이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국무위원만 참석 대상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비상계엄을 접하고 어떤 생각이 들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 질의에 "매우 놀랐고 빠른 시일 내에 금융위원장 등과 시장 안정화조치 등 무엇인가를 해야 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