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 ③높아진 미국 관세장벽… 자동차업계 '비상등'
['기대와 우려' 트럼프 2.0 시대] 관세 폭격에 IRA 혜택 축소까지… 자동차 업계는 '사면초가'
김서연 기자
1,579
공유하기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국내 자동차 업계가 마주한 다중 리스크가 조명된다. 대미 수출 생산기지인 멕시코·캐나다 관세 폭격에 이어 한국까지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편 관세 부과시 국내 자동차의 대미 수출 감소효과는 최대 13.6%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자동차 업계의 주름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인상 시나리오가 실현될 시 자동차는 7.7%~13.6%의 수출 감소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부가가치는 약 3조7000억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본다. 이는 관세 부과로 인한 시장 규모 축소와 수입시장 내 국가 간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한국의 점유율 변화를 더한 값이다.
멕시코·캐나다 관세 25%… 현지 생산 완성차·부품사도 '벌벌'
|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행정부 출범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들어오는 모든 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 중국은 60%, 한국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은 FTA 체결 이후 캐나다, 멕시코에 무관세를 적용했는데 우회 수출을 위해 완성차와 주요 부품 공장을 멕시코에 다수 이전한 국내 자동차업계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기아는 연간 생산능력 40만대 규모의 멕시코 누에보 레온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연간 생산 물량의 39%에 이르는 물량이 미국으로 수출됐다. 생산 차종은 기아 K2(현지명 리오) K3, 현대자동차 엑센트 투싼이다.
LG마그나, HL만도, 현대위아 등 자동차 부품사들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멕시코에서 생산된 자동차 부품의 85%는 미국으로 수출된다. 현대위아의 멕시코 법인은 2023년 기준 1조1000억원의 매출을 냈다. 전체 매출의 19%에 달하는 수준이다.
국내 수출분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23년 국내 대미 수출 비중은 18.30%다. 품목 중 자동차의 비율이 28.82%로 가장 높다. 2021년~2023년 미국 수입자동차 시장에서 한국은 연평균 12.1%의 점유율, 매출 210억4000만달러(한화 약 30조6279억)를 기록했다.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은 한국에 20%의 관세가 부과될 시 현대차·기아의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이 최대 19% 감소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현대차·기아는 지난해부터 현지 생산능력을 110만대까지 늘리는 등 '트럼프 시프트'를 준비해왔기 때문에 기존 예상치보다는 리스크가 적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완성차 미국 생산 혜택 ↓중국 진출 위험까지
|
올해 가동을 앞둔 전기차 전용 신공장 HMGMA도 '트럼프 리스크'에서 자유롭지 않다. 미국 공화당은 상업용 친환경차 세액공제(45W), 중고 친환경차 세액공제(25E) 조항을 폐지하고 친환경차 구매 세액공제(30D)의 혜택 축소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리스·중고·상업용 전기차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여왔기 때문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미국 완성차 제조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 제조 세액공제(45X), 투자 세액공제(48C) 혜택 대상도 축소될 수 있다. 정책이 내연차 규제 완화에 포커스가 맞춰질 가능성이 높아 전기차 전환 속도는 더욱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 관세 제재와는 별개로 트럼프는 중국 완성차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시설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 테슬라의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중국기업들의 대미 투자 가능성도 높아져 미국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업계는 '다중고'에 처할 위험이 있다.
최재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미국기업들과 연대해 미국 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은 미국 완성차 기업에도 치명적이므로 일괄적 관세 인상이 시행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기업의 생산기지 이전 효과까지 고려할 시 국내 자동차 산업의 부가가치 축소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후방 효과를 살펴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