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의회 전경/사진제공=구미시의회
경북 구미시의회 전경/사진제공=구미시의회



구미시의회가 최근 연이어 제기된 현직 시의원들의 비리 의혹으로 공직자로서의 기강 해이와 도덕성 결여에 대한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구미시의회 A 의원은 2019년 예술 행사와 관련해 특정 작가로부터 수천만원 상당의 그림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기소됐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A 의원은 그림을 받은 후 2020년 구미아트페어 예산 증액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에 대해 경찰은 고발장이 접수된 후 사건을 조사하고 기소 의견으로 지난 8일 검찰에 송치했다.

또 다른 논란은 B 의원의 자녀가 구미시립중앙도서관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한 사실이 밝혀지며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다. B 의원의 20대 자녀는 지난해 5월 도서관 기간제 근로자 채용 공고에 합격해 6월부터 근무를 시작했으나 언론 취재가 본격화되자 계약 기간 4개월을 남겨두고 12월 말 자진 퇴사했다. 이 과정에서 채용 절차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시립도서관 관계자는 "공고를 통해 모집했으며 지원자가 10여 명이었기에 B 의원의 자녀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신원조회와 면접 과정에서 이를 충분히 알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해당 채용 공고가 삭제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C씨의 채용 공고문에 포함된 '근무 기간 연장 가능'이라는 조건이 다른 공고와 달리 명시된 점을 들어, B 의원의 자녀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D 의원은 자신이 운영하는 용역회사와 관련해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의혹에 휘말렸다. D 의원은 이에 대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공직자윤리법 및 시행령 제27조8에 따르면 예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용역회사와 관련된 의결에 참여한 점은 위법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머니S> 는 A 의원과 B 의원의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아 답변을 받지 못했다.


구미시의회는 연간 20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심의하고 감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기관으로, 이번 논란은 의회의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특히 논란의 중심에 선 시의원들이 모두 국민의힘 소속인 점에서 당 차원의 책임 있는 대처와 기강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시민단체는 이러한 논란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책임자 문책,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