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위험' PF 사업장이 2023년 말 9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9월 기준 약 23조원으로 증가했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부실 위험' PF 사업장이 2023년 말 9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9월 기준 약 23조원으로 증가했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경기 불황 장기화와 함께 건설업계 뇌관으로 작용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총 규모가 감소 추세지만 부실 악화 위험군(유의 등급 C·부실 우려 D)으로 분류되는 사업장은 반대로 더 늘어 위기감이 고조된다. 신동아건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으로 건설업계의 추가 유동성 위기도 고개를 들고 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부동산PF 사업성 평가결과 및 정리·재구조화 현황'에 따르면 전체 부동산 PF 대출액은 2023년 말 231조1000억원에서 2024년 6월 216조5000억원, 같은 해 9월 210조4000억원으로 감소했다.

반면 부실 악화 위험군으로 평가된 PF 대출액은 2023년 말 전체의 4.0%(9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9월 기준 10.9%(22조9000억원)로 늘어났다.


종류별 PF 비중(2024년 9월 기준)을 살펴보면 ▲본PF 71.7%(150조8000억원) ▲토지담보대출 17.3%(36조5000억원) ▲브리지론 11.0%(23조1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유형별 PF 부실 악화 우려(C·D 등급) 비중은 ▲토담대 6.4%(13조5000억원) ▲브리지론 2.3%(4조8000억원) ▲본PF 2.2%(4조6000억원)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시공능력 58위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위험군으로 분류된 PF 사업장의 추가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업계는 정부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건설산업 활력 제고 방안'을 통해 부동산 PF 지원 정책으로 ▲PF 사업장 자금조달 지원 ▲민·관 합동 PF 사업의 PF조정위원회 실효성 증대 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정상 사업장의 PF 보증 규모를 35조원에서 40조원으로 확대하고 브리지론에서 본PF로 전환 시 대환 범위에 이자 등 금융비용을 추가했다. 오피스 등 비주택 대상 PF 보증 4조원을 실시하고 시공사 책임준공에 대한 사업장도 6조원 늘렸다. 민·관 합동 PF 사업에서 PF조정위원회를 상설 운영하고 실효성을 증대시키는 PF 제정법도 발의했다.

반면 부실 사업장 지원 규모는 2조원에 불과해 회생이 가능한 사업장도 위험성이 제기된다. 정상 사업장의 착공을 지원하기 위한 PF 보증은 40조원인 데 비해 부실 사업장 지원 신디케이트론은 1조원에서 2조원으로 확대하는 데 그쳤다. 앞으로 5조원까지 확대가 계획돼 있지만 위험군 대출이 22조9000억원이고 본PF 위험군은 4조6000억원으로 지원 규모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회생 가능성이 있는 사업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반기 내 최소 3조~4조원 이상 확대해야 한다"며 "건설업체뿐 아니라 분양시장 소비자의 피해도 우려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