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언팩] '갤럭시 S25'를 사고싶다... 이것 때문이었구나
[체험기] 첫째도 AI, 둘째도 AI… 기능은 고도화, 무게·두께는 모두 줄어
샌프란시스코(미국)=김성아 기자
3,134
공유하기
|
"갤럭시 S25 시리즈는 한층 더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입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만 새너제이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직후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이 새로 나온 '갤럭시 S25 시리즈'를 두고 한 말이다. 삼성전자의 자신감은 실제 제품을 체험하면서 납득이 됐다. 새롭게 탑재된 인공지능(AI) 기능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고, 하루 일정을 관리하며 필요한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등 개인 비서로 진화했다.
신제품 갤럭시 S25 시리즈는 확실히 얇고 가벼웠다. 전작과 비교해 두께와 무게 모두 줄었기 때문이다. 무게는 갤럭시 S25 울트라가 14g, 갤럭시 S25+가 6g, 갤럭시 S25가 5g 가벼워졌고, 두께는 전 모델 공통으로 전작 대비 0.4mm씩 얇아졌다. 눈에 확 띌 만큼은 아니지만 슬림해 진것은 사실이다.
디자인도 세련됐다. 지금껏 아이폰이 직관적 사용감과 콤팩트한 이미지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S25는 이 같은 아이폰의 평가를 무색하게 할 만큼 깔끔하고 매끄러웠다. 눈에 띈 건 곡선 형태 테두리다. 네 모서리가 각진 형태였던 S24와 달리 S25의 모서리는 둥글다.
|
갤럭시 S25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은 AI 기능의 압도적인 발전이었다. 단순 음성 명령을 넘어 사용자의 말을 깊이 이해하고 스스로 작업을 수행한다. 자연어를 정교하게 이해해 사용자와의 소통이 한층 자연스러웠다.
대표적인 예가 사진 찾기다. 과거에는 갤러리에 저장된 수천장의 사진을 직접 살펴야 했지만, 말 한마디면 필요한 사진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갤러리 검색창에서 "강아지와 함께 야외에서 찍은 사진을 보여줘"라고 하면 AI가 자동으로 관련된 사진을 찾아 필터링한다. 스크롤 작업 없이 친구에게 부탁하듯 얘기하면 돼 매우 편리하다.
여러 앱을 거쳐야 했던 작업도 AI가 한 번에 해결한다. AI 버튼을 길게 누르고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으로 가는 항공권을 검색해서 토니에게 문자로 보내줘"라고 말하면 AI가 자동으로 인터넷에서 항공권을 검색한 후 토니에게 전송한다. 기존에는 인터넷 검색 → 일정 확인 → 복사· 문자 실행 → 문자 전송의 단계를 거쳐야 했지만 이제는 말 한마디면 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두개 이상의 앱을 사용해야하는 작업도 말 한마디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며 "갤럭시 S25 시리즈 우측 AI버튼만 누르면 대부분의 작업이 실행된다"고 말했다.
|
일정을 자주 깜빡하는 내게 가장 유용했던 기능은 '나우 브리프'(Now Brief)였다.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스마트폰이 하루 일정을 정리해 알려주니, 따로 확인할 필요 없이 하루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전날 밤의 수면 데이터와 하루 컨디션, 일정 등을 종합해 "오늘 아침 미팅은 10시, 점심 약속은 12시"라는 식으로 브리핑한다. 일정을 확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이 먼저 알려주기 때문에 바쁜 아침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갤럭시 S25의 강력한 AI 비서 기능은 냉장고 앞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냉장고 속을 비추며 "오늘 저녁 뭐 먹을까?"라고 묻자 AI가 냉장고 안 식재료를 분석해 적절한 요리 레시피를 추천해 줬다. "유통기한 임박한 재료 알려줘"라고 하자 S25는 사용 가능한 재료 목록을 정리했고 이를 활용한 요리를 추천해 줬다. 음식물 쓰레기 버리기를 가장 싫어하는 아빠가 이 기능을 본다면 매우 기뻐할 것이란 확신이 들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It makes everything natural and super easy"(갤럭시 S25는 모든 것을 자연스럽고 훨씬 더 쉽게 만들었다)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한 채 설명을 이어갔다.
|
'덕질엔 갤럭시'라는 별명이 붙을 만큼 이미 우수한 화질을 자랑하는 갤럭시 S 시리즈는 이번 S25 모델에서 화질 자체보다 한층 진화한 AI 기반 사진·영상 편집 기능으로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생성형 편집'(Generative Edit)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사진의 배경 일부가 잘려나갔을 때 AI가 자동으로 빈 공간을 채워 자연스럽고 완벽한 이미지를 만들어 준다. 사진 속 피사체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촬영 후에도 구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문적인 포토 편집 기술이 없이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사진 편집뿐 아니라 영상 편집 기능도 AI 기술을 적극 활용된다. 새롭게 탑재된 '오디오 지우개'(Audio Eraser) 기능은 동영상에 녹음된 불필요한 배경 소음이나 주변 사람들의 목소리를 제거한다. AI가 영상 속 사운드를 ▲음성 ▲자연 ▲군중 ▲소음 등으로 자동 분류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리만 남기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인터뷰나 여행 영상에서 배경 소음을 최소화하고 보다 선명한 오디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선 AI 기능이 대폭 향상됐음에도 불구, 가격이 동결된 점을 들어 갤럭시 S25 시리즈가 역대급 판매량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갤럭시 S25의 판매량이 37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6% 늘어난 것"이라며 "2016년 출시된 갤럭시 S7(4900만대) 이후 9년 만에 최대 판매량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샌프란시스코(미국)=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