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허리' 부실… 지난해 40대 취업자 21년 만에 최저
전년대비 8만명 줄어든 617만 9000명… 인구 감소·내수 부진 등 여파
김창성 기자
1,110
공유하기
|
국내 경제의 '허리'를 책임져야 할 40대 취업자 수가 21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626만명)대비 1.3%(8만1000명) 줄어든 617만9000명이다. 이는 2003년(605만명)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40대 취업자는 2014년까지 늘어 689만6000명을 찍었지만 이후 감소세로 전환돼 10년 동안 약 70만개 일자리가 사라졌다. 이는 인구구조 변화와 내수 부진 등이 두루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40대 인구는 2014년 817만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10년 연속 감소해 지난해에는 781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이른 퇴직도 40대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는 시각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55~64세 취업경험자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퇴직한 평균연령은 49.4세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