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수주 계약 지연… 대우건설, 영업이익률 2%대 전망
3.7조 주요 해외사업 실적 미반영… 총수 경영체제 로드맵 주목
김창성 기자
1,892
공유하기
|
국내 시공능력평가 3위 대우건설이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 전망이다. 다만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건설사업의 수익성이 저하된 상황에서 영업이익률은 대형사 대비 높은 수준이다.
해외수주 지연에 실적 회복 발목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6일 공시 예정인 대우건설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779억원) 대비 다소 떨어지고 매출은 비슷한 수준, 영업이익률은 2%대가 예측된다.대우건설은 최근 1년 동안 분기 실적 지표가 지속해서 하향 곡선을 그렸다. 2023년 4분기에 대우건설은 매출이 전년(3조2083억원) 대비 13.4% 떨어진 2조7782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2468억원에서 68.4% 하락해 779억원에 그쳤다. 영업이익률은 4.9%포인트 내려간 2.8%를 찍었다.
지난해 1~3분기(1~9월)에도 실적은 줄곧 하향세였다. 분기별로 ▲1분기 매출 2조4873억원(4.6%↓) 영업이익 1148억원(35.0%↓) 영업이익률 4.6%(2.2%포인트↓) ▲2분기 2조8215억원(13.6%↓) 1048억원(51.9%↓) 3.7%(3%포인트↓) ▲3분기 2조5478억원(14.8%↓) 623억원(67.2%↓) 2.4%(4%포인트↓) 순이다.
김기룡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신규 수주는 약 9조6000억원 수준으로 예측돼 전망 대비 83%를 달성하고 국내 수주는 전망치인 8조5000억원을 초과 달성했다"며 "해외 다수 현장의 계약 지연으로 해외 수주가 약 4000억원(예상치 3조원)에 그쳐 실적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대우건설이 지난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 비료 공장(약 1조원 추정) ▲리비아 인프라 재건 2건(약 9000억원) ▲이라크 AI-Faw 해군기지(약 1조8000억원) 프로젝트의 수주 시기는 모두 올 1분기(1~3월)로 예상된다.
|
해외수주와 달리 주택 분양 실적은 1만9500여가구를 달성해 연간 목표치를 달성할 전망이다. 2024년 4분기(10~12월)에 자체사업 현장인 아산·평택 등에서 약 6900가구의 분양 실적을 거뒀다. 다만 미분양 주택 비용 우려가 상존하는 만큼 실질 계약률이 실적 반등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지방 주택시장 회복이 요원하고 준공 후 미분양 리스크가 상존한다"고 짚었다. 이어 "앞으로 해외 토목·플랜트 수주, 도시정비사업 수주 등을 통해 실적을 만회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책임경영 나선 김보현 사장 로드맵 주목
올해부터 대우건설은 총수 경영체제를 시작하며 김보현 사장의 리더십도 실적 반등의 중요 키워드가 될 전망이다.대우건설은 중흥그룹과 합병한 다음 해인 2023년 시평 3위에 올랐지만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원가율 상승과 건설경기 불황 등이 맞물려 실적 부진을 겪었다. 실적 반등을 위한 김 사장의 경영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다.
김 사장은 지난해 말 열린 취임식에서 "건설업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내실경영 기조 속에 리스크를 줄여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튼튼한 대우건설을 만들자"고 당부했다.
이어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 기술 BIM(빌딩정보리모델링)과 PC(사전제작 콘크리트) 등 스마트건설 기술을 활용해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며 "건설 외 신사업 분야를 구체화해 신성장 동력도 확보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