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국민 트로트 가수' 고 송대관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국민 트로트 가수' 고 송대관의 빈소가 마련돼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가수 송대관이 세상을 떠난 가운데, 연예계의 애도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일 오전 송대관은 향년 7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며칠 전 통증을 호소, 급히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로 이송된 뒤 입원 치료를 받아왔지만 끝내 숨을 거뒀다. 사인은 심장마비로 알려졌다.


이후 7일 오후 1시께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 빈소가 차려졌다. 송대관의 장례는 대한가수협회장으로 치러지는 가운데, 오는 9일 오전 9시 30분 영결식을 진행한 뒤 오전 11시 발인식을 엄수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장례위원장은 이자연 한국가수협회장과 태진아가 공동으로 맡았다.

이날 빈소에는 가수 혜은이, 태진아, 강진, 개그맨 오정태 등 생전 고인과 인연을 맺었던 가요계, 연예계 동료 및 후배들이 발걸음했다.


특히 생전 고인의 '절친'으로 유명했던 태진아는 "우리 송대관 선배는 그야말로 대한민국에 트로트라는 장르를 확실하게 세워놓고 우리의 장르를 꿋꿋하게 지켜주신 분"이라며 "저는 한쪽 날개를 완전히 잃은 거나 마찬가지다"라고 슬픔을 감추지 못했다.

강진 역시 "가요계의 큰 별이 또 졌다"라며 "이제 곁에서 형님을 못 뵌다는 그 자체가 너무 슬프고 아쉽고 원통하다"라고 애도의 마음을 표했다.


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국민 트로트 가수' 고 송대관의 빈소를 찾은 조문객이 조문하고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국민 트로트 가수' 고 송대관의 빈소를 찾은 조문객이 조문하고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외에도 가수 조용필, 나훈아, 임영웅, 손태진, 강석, 오승근, 박혜성, 유지나, 한혜진, 박구윤, 김부자, 방송인 김구라 등 고인과 인연을 맺었던 동료 및 후배 가수들이 근조화환을 보내 애도의 마음을 전했다.

설운도는 뉴스1과 통화에서 "얼마 전에 현철 선생님을 떠나보냈는데 송대관 선배님마저 떠나셨다, 선배님들이 많지 않으신데 이런 소식이 연이어 들리니 안타깝다"라며 "건강하게 오래 노래를 들려줬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라고 애도를 표했다.

송대관의 성대모사로 유명했던 개그맨 안일권 또한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송대관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감사했습니다. 선생님"이라고 추모의 글을 남겼다.

방송계에서도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KBS 2TV '불후의 명곡'은 8일 방송분에 추모 VCR 영상을 제작해 방송할 예정이며, KBS 1TV '가요무대'는 10일 방송에 추모 멘트를 전한다. 또한 '전국노래자랑'은 지난해 10월 이미 녹화된 '당진시 편', '영등포 구편'에 초대 가수로 출연한 고 송대관의 생전 무대를 16일 '당진시 편', 3월 2일 '영등포구 편'을 통해 방송할 예정이다.

한편 1946년 6월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송대관은 지난 1967년 곡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했다. 이후 1975년 발표한 곡 '해뜰날'이 대히트를 기록하며 전성기를 맞았고 이후 각종 상을 휩쓸며 트로트계 레전드로 올라섰다.

송대관은 고(故) 현철, 태진아, 설운도 등과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활약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태진아와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서 티격태격하는 모습으로 웃음을 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