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S+] "중국 말고 한국으로"…K-조선, 미중 갈등에 '휘파람'
미중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조선사를 찾는 선주사들의 발걸음 이어져
최유빈 기자
8,441
2025.02.10 | 16:32:47
공유하기
|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미중 갈등이 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조선사들을 찾는 선주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대중 규제에 선제 대응해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한 의도로 관측된다. 국내 조선사들은 수익성에 집중한 수주 전략으로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10일 조선·해운 전문지인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독일 선사 하팍로이드는 1만6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을 한화오션에 발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계약 규모는 12억달러(한화 약 1조7500억원)에 달한다.
하팍로이드는 당초 중국과 선박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물량은 하팍로이드가 중국 양쯔강조선에 컨테이너선을 발주하면서 포함된 옵션에 따른 것이다. 하팍로이드는 지난해 10월 양쯔조선소와 컨테이너선 12척 건조계약 당시 추가로 6척을 발주하는 옵션을 포함했다.
업계에선 하팍로이드가 미중 갈등을 염두하고 한화오션으로 발주처를 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 규제를 강화할 경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강재호 HD한국조선해양 전략마케팅부문 전무는 지난 6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미중 갈등 고조로 인한 리스크 회피 목적으로 선주들의 중국 발주 거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실수요자에 집중한 영업 활동과 함께 시장의 니즈를 세밀하게 분석해서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미중 갈등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소극적인 대응을 명분 삼아 중국 수출품 전반에 10%의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중국은 이날 미국산(産)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를,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 등 품목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해운사들은 미국의 대중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한국 조선사들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미국이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에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직후부터 고강도 행정명령에 나서면서 불확실성은 더 커지고 있다.
해운사들은 각종 대중 규제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산 선박이 미국 항만에 기항할 때 추가 세금이나 허가 절차를 거치도록 하거나 미국 정부가 중국산 선박을 사용하는 해운사에 보조급 지급을 제한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환경 규제를 명분으로 중국에서 건조된 배에 상대적으로 더 엄격한 환경 기준을 적용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실시한 중국 국영기업 제재가 재추진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국방수권법을 근거로 중국 1위 국영조선사인 중국선박공업그룹(CSSC)을 비롯한 중국 업체들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미국 해운사가 CSSC에서 건조한 배를 구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우민 한화오션 상선사업부 영업기획팀장도 지난달 실적 설명회에서 "최근 중국 조선소의 설비 확장과 대량 수주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미국의 불공정 거래 제재 강화, 미국 정부의 중국 선사 조선소 블랙리스트 등재 등으로 한국 조선소의 선호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올해도 해운사들의 완만한 발주세 기대되면서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엔 청신호가 켜졌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연간 수주 목표 금액을 지난해 목표치 135만달러(약 19억5900만원) 대비 33.7% 높은 180억5000만달러(약 26조1900억원)로 잡았다. 삼성중공업도 올해 매출 목표치를 지난해 실적보다 높은 10조5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급진적인 정책을 펴면서 선주사들이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중국을 비선호하는 선주사들이 늘고 있어 한국 조선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