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가 전월대비 4.5포인트 오른 75.4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가 전월대비 4.5포인트 오른 75.4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분양 비수기인 2월 전망지수가 전월보다 다소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보다 전국 평균 4.0포인트 상승한 75.4다.


수도권은 0.2포인트(76.8→ 76.6) 하락하고 비수도권은 4.8포인트(70.3→ 75.1)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89.5→ 87.1, 2.4포인트↓)과 경기(67.6→ 66.7, 0.9포인트↓)에서 하락이 전망됐고 인천은 (73.3→ 76.0, 2.7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 13.3포인트(66.7→ 80.0), 전남 12.5포인트(62.5→ 75.0), 대구 12.2포인트(64.0→ 76.2), 충남 11.1포인트(66.7→ 77.8), 부산 9.8포인트(68.0→ 77.8), 대전 9.2포인트(60.0→ 69.2), 경북 8.5포인트(73.3→ 81.8), 제주 7.8포인트(72.2→ 80.0), 세종 1.9포인트(75.0→ 76.9), 경남 0.8포인트(68.4→ 69.2) 오를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강원 8.3포인트(75.0→ 66.7), 울산 4.5포인트(73.7→ 69.2), 전북 3.9포인트(85.7→ 81.8), 충북 2.7포인트(72.7→ 70.0) 하락이 전망됐다.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난 달 큰 폭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상승이 있었지만 여전히 모든 시·도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100.0)를 크게 밑돌아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상황이 계속 좋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다.

이는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등이 복합적 작용해 주택거래가 감소하고 일부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떨어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비상계엄사태 이후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아파트 분양 사업성이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적으로 미분양주택이 증가한 것도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끼쳤다.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전국 2만1480가구로 집계됐는데(2024년 12월 주택통계) 이는 2014년 7월 이후 약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며 대부분 지방 물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2월 아파트 분양가격 및 분양물량 전망지수를 살펴보면 1월 대비 2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4.5포인트 상승한 105.9,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7.1포인트 오른 84.6,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10.7포인트 뛴 113.5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1월16~24일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주택사업을 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