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불신의 한국 자본시장
송정훈 기자
1,326
2025.02.11 | 15:33:38
공유하기
#흔히 투기나 도박의 경우 제로섬 게임에 비유된다. 모든 이익의 합이 항상 제로인 상태, 즉 판돈이 한정돼 누군가는 따면 누군가는 잃는다는 얘기다. 이기면 모든 걸 갖는 승자독식의 세계에선 상대가 이겨야할 적일 뿐. 경쟁자들 나아가 판(게임)은 불신이 지배한다.
국내 자본시장에 해묵은 공매도부터 공모주 제도까지 개인투자자의 불신이 팽배하다. 연초부터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는 IPO(기업공개) 공모주가 속출하면서 공모가 뻥튀기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든다.
실제 그럴까? 올 들어 코스피 IPO 최대어로 꼽힌 LG씨엔에스(LG CNS)까지 줄줄이 상장초기 주가가 부진하다. 신규 상장 8개사(스팩 제외) 중 7곳이 첫날 공모가 이하로 거래를 마쳤고 이중 개별 기업 수익률은 최대 45% 넘게 떨어졌다.
지난 5일 LG CNS는 기관들이 상장 첫날 1500억원이 넘는 매도 물량을 쏟아냈다. 기관 순매도 규모 1위다. 반면 개인은 1860억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물량을 받아냈다. 상장 첫날부터 의무보유 확약을 하지 않은 기관매도세에 주가가 빠져 손실을 떠 안는 공모주 투자자와 거래 개인들이 속출했다.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 21조원 규모 청약증거금을 끌어 모아 개인들은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전문가들은 "개미들의 공모가 산정 등 제도에 대한 불만이 시장 자체에 대한 외면으로 이어지는 거 같아 안타깝다(자산운용사 대표)"고 하소연 한다.
자산가들 사이에선 해당기업과 주관사들의 수요예측 희망 밴드(가격범위) 결정과 기관의 수요예측에서 과도한 물량 확보 경쟁이 공모가를 키웠고 기관들은 상장 후 곧바로 회수에 나선 것이라는 불신이 팽배하다. 공모가는 수요예측 희망 밴드(5만 3700~6만1900원) 상단에서 확정됐다.
공모주가 약세면 대규모 자금력과 정보력을 갖춘 기관들은 상장 후 대거 배정받은 공모주의 매매 물량을 조절해 상대적으로 손실을 줄인다. 주요 투자자로 해당기업, 주관사 등과 협상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반면 개인들은 공모주 매도가 유일한 방법이어서 대부분 손실을 떠 안을 수 있다.
금융당국도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당국을 비웃기라도 하듯 공모주 제도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 멀게는 수십년 전부터 가깝게는 지난해에 이어 지난달에도 투자자보호 명목으로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약발이 듣지 않는다.
이번 대책은 기관에 배정 물량 중 7월부터 30%, 내년부터 40%의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를 도입하는 게 골자다. 기관 의무보유 확약 비중을 지난해 평균 20% 수준에서 두 배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동시에 기관의 수요예측 시 첫날 공모주를 더 많이 배정 받을 수 있는 가점을 다른 날로 고르게 분배하는 등 공모가 왜곡 현상을 줄이는 방안이 포함됐다. 대책의 효과는 지켜봐야겠지만 해당 기업과 주관사 등의 IPO 역할과 책임을 직접적으로 강제해 공모주 단타 관행을 장기 투자로 유도하는 구속력 있는 극약 처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6일 한국증시 활성화 토론에 참석해 "미래의 핵심 투자자인 청년층의 국내 증시 이탈이 심화돼 증시 성장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주주이익 보호에 감독역량을 집중할 뜻을 내비쳤다.
그의 말처럼 자본시장은 개인투자자 보호가 최대 당면 과제다. 이를 통해 불신을 걷어내고 모두 돈을 버는 논제로섬 게임이 될 때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다.
국내 자본시장에 해묵은 공매도부터 공모주 제도까지 개인투자자의 불신이 팽배하다. 연초부터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는 IPO(기업공개) 공모주가 속출하면서 공모가 뻥튀기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든다.
실제 그럴까? 올 들어 코스피 IPO 최대어로 꼽힌 LG씨엔에스(LG CNS)까지 줄줄이 상장초기 주가가 부진하다. 신규 상장 8개사(스팩 제외) 중 7곳이 첫날 공모가 이하로 거래를 마쳤고 이중 개별 기업 수익률은 최대 45% 넘게 떨어졌다.
지난 5일 LG CNS는 기관들이 상장 첫날 1500억원이 넘는 매도 물량을 쏟아냈다. 기관 순매도 규모 1위다. 반면 개인은 1860억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물량을 받아냈다. 상장 첫날부터 의무보유 확약을 하지 않은 기관매도세에 주가가 빠져 손실을 떠 안는 공모주 투자자와 거래 개인들이 속출했다.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 21조원 규모 청약증거금을 끌어 모아 개인들은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며 불만을 토로한다. 전문가들은 "개미들의 공모가 산정 등 제도에 대한 불만이 시장 자체에 대한 외면으로 이어지는 거 같아 안타깝다(자산운용사 대표)"고 하소연 한다.
자산가들 사이에선 해당기업과 주관사들의 수요예측 희망 밴드(가격범위) 결정과 기관의 수요예측에서 과도한 물량 확보 경쟁이 공모가를 키웠고 기관들은 상장 후 곧바로 회수에 나선 것이라는 불신이 팽배하다. 공모가는 수요예측 희망 밴드(5만 3700~6만1900원) 상단에서 확정됐다.
공모주가 약세면 대규모 자금력과 정보력을 갖춘 기관들은 상장 후 대거 배정받은 공모주의 매매 물량을 조절해 상대적으로 손실을 줄인다. 주요 투자자로 해당기업, 주관사 등과 협상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반면 개인들은 공모주 매도가 유일한 방법이어서 대부분 손실을 떠 안을 수 있다.
금융당국도 대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당국을 비웃기라도 하듯 공모주 제도에 대한 불신은 여전하다. 멀게는 수십년 전부터 가깝게는 지난해에 이어 지난달에도 투자자보호 명목으로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약발이 듣지 않는다.
이번 대책은 기관에 배정 물량 중 7월부터 30%, 내년부터 40%의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를 도입하는 게 골자다. 기관 의무보유 확약 비중을 지난해 평균 20% 수준에서 두 배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동시에 기관의 수요예측 시 첫날 공모주를 더 많이 배정 받을 수 있는 가점을 다른 날로 고르게 분배하는 등 공모가 왜곡 현상을 줄이는 방안이 포함됐다. 대책의 효과는 지켜봐야겠지만 해당 기업과 주관사 등의 IPO 역할과 책임을 직접적으로 강제해 공모주 단타 관행을 장기 투자로 유도하는 구속력 있는 극약 처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6일 한국증시 활성화 토론에 참석해 "미래의 핵심 투자자인 청년층의 국내 증시 이탈이 심화돼 증시 성장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주주이익 보호에 감독역량을 집중할 뜻을 내비쳤다.
그의 말처럼 자본시장은 개인투자자 보호가 최대 당면 과제다. 이를 통해 불신을 걷어내고 모두 돈을 버는 논제로섬 게임이 될 때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다.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송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