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중견사들이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이 악화됐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뉴스1
건설업계 중견사들이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이 악화됐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사진=뉴스1


지난해 하반기 시작된 금리 인하에도 여전히 고금리가 지속되며 주택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중견사들의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일부 기업들은 원가 절감 노력과 공공공사 수주로 노선을 바꿔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 11위 한화건설부문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3조745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5조3266억원) 대비 29%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309억원으로 전년(-22억원) 대비 14배 증가하며 적자 폭이 확대됐다.

최근 만기 채권을 조기 상환한 코오롱글로벌(이하 시공능력 19위)은 매출이 전년 대비 10% 증가한 2조904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은 455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아이에스동서(21위)는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 강화와 재무구조 건전화를 위한 노력했지만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5148억원과 영업이익 173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25.4%, 49.0% 감소했다.

동부건설(22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6883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967억원으로 전년(영업이익 302억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이마트로 합병된 신세계건설(33위)은 영업손실이 전년 대비 538억원 개선돼 적자 폭을 축소했다. 다만 여전히 적자를 기록해 이마트와의 합병 이후 실적 개선을 위해 구조조정이 진행중이다.

건설경기 침체 속 수익성 챙겼다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도 수익성이 개선된 중견사들이 눈에 띄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사진=뉴스1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도 수익성이 개선된 중견사들이 눈에 띄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공사현장 모습. /사진=뉴스1


국내 건설경기가 침체가 장기화된 상황에도 수익성이 개선된 기업들이 있다. 원가 상승과 금융비용 부담 속에 사업 다각화와 공공공사 수주 등을 통해 실적 개선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워크아웃을 진행중인 태영건설(24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2조6903억원, 영업이익 151억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워크아웃은 기업들이 도산 위기에 처했을 때 채권자와 협의해 경영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는 절차다.

태영건설 관계자는 "영업이익과 순이익 부분의 흑자를 낸 것은 2023년에 대규모 손실을 반영한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KCC건설(25위)은 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이 64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5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8270억원으로 4% 감소했다. KCC건설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에 대비해 원가율 개선에 노력했고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신공영(28위)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4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 증가했다. 매출은 1조4896억원으로 14% 늘어났다. 한신공영 관계자는 "자체 공사현장인 경북 포항 펜타시티 한신더휴와 대전 리저브 현장 등 준공 아파트의 입주가 본격화돼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HL D&I한라(30위)는 지난해 연결 매출 1조5788억원, 영업이익 57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0.4%, 14.3% 증가했다.

HJ중공업 건설부문(36위)은 공공 수주를 늘리면서 수익성을 개선했다. 공공공사 1조3000억원, 정비사업 8000억원, 민간·해외공사 8400억원 등 총 2조9400억원의 수주를 기록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노선과 새만금국제공항 등 대형 공공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HJ중공업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1조88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주택사업을 하지 않는 삼성E&A(46위)는 수익성 중심의 수주 전략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9716억원을 기록해 목표(8000억원)를 초과 달성했다. 다만 매출은 9조9665억원, 영업이익은 971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2%, -2.2% 역성장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기조와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원자잿값, 인건비가 급등해 수익성이 약화됐다"면서 "올해도 건설 경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으로 재무 안정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사가 적정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공사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신인도를 종합 평가하는 제도다. 국토교통부는 시공능력 평가를 실시해 매년 7월 말 결과를 공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