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현황 실태조사' 피해유형 분포. /자료제공=경기도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현황 실태조사' 피해유형 분포. /자료제공=경기도


경기도민들이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전기통신 금융사기에 무방비로 노출돼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 1인당 평균 피해액이 810만원에 육박하며, 특히 기관 사칭형 사기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경기도가 발표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도민 1인당 평균 피해 금액은 809만 5000원으로 집계됐다. 피해 금액별로는 1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 피해자가 45.3%로 가장 많았다. 1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의 고액 피해자도 24.2%에 달했다.

가장 흔한 피해 유형은 국세청, 우체국 등 기관을 사칭하는 사기(36.1%)였다. '무이자 대출 상품 안내' 등 메신저 피싱(25.6%), 대출 사기(19.7%), 문자 메시지를 통한 스미싱(13.6%) 등이 뒤를 이었다. 피해자 대부분(94%)은 1회 피해를 입었지만, 2회 이상 피해를 본 경우도 6%나 됐다.


주요 피해 이유로는 '신뢰할 만한 인물로 가장, 의심할 틈이 없었음'이 38.4%로 가장 많았다. '긴급성과 공포감 조성' 때문에 피해를 당한 경우도 26.9%로 전체의 4분 1을 넘어섰다. 피해를 당하고 절반 넘는 피해자들(50.7%)은 신고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피해 금액이 많지 않다'면서 신고를 하지 않은 피해자도 절반 가까이나 됐다.

피해자 대부분(67.5%)은 피해액의 25% 미만을 환수하는 데 그쳤다. 응답자들은 사전 예방 홍보물(71.9%)과 예방 정책(81.7%)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됐다. 본인 또는 직계가족 중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경험이 있는 도민 1195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경기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계획을 수립해 지자체에서 시행할 수 있는 피해자 예방 정책을 발굴·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