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고등학교 주촌 이전 결국 백지화
총동문회 이전 관련 투표에서 찬반 '동수'...이전 안건 부결
도 교육청·김해시 "총동창회 결정 존중... 추진하지 않겠다"
경남=이채열 기자
공유하기
|
김해고등학교의 주촌 이전 계획이 총동창회의 반대로 백지화 국면을 맞고 있다.
지난 22일 열린 김해고 총동창회 임시총회에서는 모교 이전 문제를 두고 치열한 논의 끝에 찬반 투표가 진행됐다. 이날 총회에는 대의원 425명 중 214명이 투표에 참여해 이전 찬성 107표, 이전 보류 107표로 동수가 나왔다. 이에 따라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학교 이전 안건은 자동 부결됐다. 이에 따라 김해고 주촌 이전은 백지화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김해고 주촌 이전은 교육 환경 개선과 학교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오랫동안 논의돼 왔으나 졸업생과 학부모, 재학생 등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논란이 지속돼 왔다. 학교의 전통성과 역사성을 지키자는 입장과 더 나은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이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선 끝에 결국 동창회의 공식적인 반대로 이전 논의는 종결됐다.
박좌규 김해고 총동창회 사무총장은 "오랜 논의 끝에 동문들의 뜻이 모아졌다"며 "투표 결과를 존중해 모교 이전은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남도교육청은 총동창회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공식적인 공문이 도착한 후 최종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도 교육청 학교지원과 고등학생배치 담당 주무관은 "김해고 총동창회의 논의 결과를 확인했으나 공식적인 공문을 통해 확정해야 한다"며 "총동창회에서 이전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하면 의견을 존중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 계획은 2023년부터 논의하면서 2029년 개교를 목표로 주촌 이전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경남교육청과 김해고 총동창회의 의견 차이로 인해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논쟁이 이어졌다. 특히 김해고가 평준화 지역 내에 위치해 있어 비평준화 방식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일부 의견과 교육청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근거로 김해고의 비평준화 적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대립해 왔다.
이에 대해 김해시는 총동창회의 결정을 존중하며 최종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해시 인재육성지원과 담당자는 "총동창회에서 이전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하면 시 역시 협약에 따라 이전을 추진할 수 없다"며 "이전 계획이 보류됨에 따라 기존 교육 환경을 유지하면서 김해고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남=이채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