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한국 자동차' 수출 위기, 정부 통상 역량 시험대
김창성 머니S 산업1부 차장
김창성 기자
1,270
2025.02.28 | 05:50:00
공유하기
국내 완성차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미 수출 품목별 '관세폭탄' 부과 선언에 골머리를 앓고 있지만 위기 돌파 해법은 요원하다. 지난해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탄핵정국에 들어가며 국민 불안 가중과 함께 대외적 외교 리더십도 상실해서다.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위기 속 트럼프 리스크까지 떠안았지만 대통령 리더십 부재가 장기화 되며 '각자도생'에 몰두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미 수출 품목에 대한 보편 관세 25% 부과 발표 디-데이(D-day)를 4월2일로 예고했다. 발표 예고 시점까지 한 달 여 남았지만 현재로선 딱히 해결 방법이 안 보인다.
트럼프의 엄포가 현실화 될 경우 국내 완성차업계의 이익 감소 규모가 연 10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지난해 기준 미국으로 114만여대의 차를 수출한 현대차·기아는 물론 한국에 공장을 짓고 미국으로 차를 수출하는 미국기업 GM(제너럴모터스)의 한국사업장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GM한국사업장의 지난해 대미 수출 물량은 총 판매량(44만3606대)의 94.4%인 41만8782대나 된다.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동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인 토요타·GM 등 경쟁업체와의 협력관계도 활용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전략 검토도 병행하고 있지만 정부의 위기 돌파 동력은 빈약하다.
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에 발이 묶였고 한덕수 국무총리도 마찬가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상 초유의 행정부 서열 1·2위의 동시 부재에 힘겨운 국정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전략 대응에 고심 중인 완성차업계의 행보에 정부도 힘을 보태기 위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장관급 인사와 만나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 조치 예고에 대해 면제를 요청하며 대미 투자 확대 방안 등을 주요 협상 카드로 내세울 것으로 보이지만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행보를 진정시키기엔 외교 파트너로서의 체급 차이가 커서다.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 등을 추진해 윤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했어야 했지만 스스로 자초한 정치적 혼란에 갇혀 국가적 리더십 부재를 야기했다.
현실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막무가내나 다름없지만 미국의 국익만을 최우선으로 내세운 그의 정책을 반전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최 권한대행은 최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회 국무회의에서 "민·관이 글로벌 팀 코리아로 똘똘 뭉쳐 힘을 모은다면 작금의 통상 위기는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제시하지 못했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동해 대응 마련에 분주한 완성차업계에 이어 이제는 정부 차례다. 국가적 외교 리더십 부재 속 정부의 통상 대응 역량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이른바 '차·포' 다 떼고 잇몸으로 부딪히는 승부수다.
한국 자동차산업의 수출 위기 돌파는 이제 정부가 내놓을 혜안에 달렸다. 트럼프는 맘 편히 웃고 있다. 정부는 국익 보호를 위해 어떤 반전 카드를 준비했는가.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위기 속 트럼프 리스크까지 떠안았지만 대통령 리더십 부재가 장기화 되며 '각자도생'에 몰두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미 수출 품목에 대한 보편 관세 25% 부과 발표 디-데이(D-day)를 4월2일로 예고했다. 발표 예고 시점까지 한 달 여 남았지만 현재로선 딱히 해결 방법이 안 보인다.
트럼프의 엄포가 현실화 될 경우 국내 완성차업계의 이익 감소 규모가 연 10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지난해 기준 미국으로 114만여대의 차를 수출한 현대차·기아는 물론 한국에 공장을 짓고 미국으로 차를 수출하는 미국기업 GM(제너럴모터스)의 한국사업장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GM한국사업장의 지난해 대미 수출 물량은 총 판매량(44만3606대)의 94.4%인 41만8782대나 된다.
현대차그룹은 정의선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동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인 토요타·GM 등 경쟁업체와의 협력관계도 활용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전략 검토도 병행하고 있지만 정부의 위기 돌파 동력은 빈약하다.
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에 발이 묶였고 한덕수 국무총리도 마찬가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상 초유의 행정부 서열 1·2위의 동시 부재에 힘겨운 국정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전략 대응에 고심 중인 완성차업계의 행보에 정부도 힘을 보태기 위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장관급 인사와 만나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 조치 예고에 대해 면제를 요청하며 대미 투자 확대 방안 등을 주요 협상 카드로 내세울 것으로 보이지만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행보를 진정시키기엔 외교 파트너로서의 체급 차이가 커서다.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 등을 추진해 윤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과 마주했어야 했지만 스스로 자초한 정치적 혼란에 갇혀 국가적 리더십 부재를 야기했다.
현실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막무가내나 다름없지만 미국의 국익만을 최우선으로 내세운 그의 정책을 반전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최 권한대행은 최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회 국무회의에서 "민·관이 글로벌 팀 코리아로 똘똘 뭉쳐 힘을 모은다면 작금의 통상 위기는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제시하지 못했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동해 대응 마련에 분주한 완성차업계에 이어 이제는 정부 차례다. 국가적 외교 리더십 부재 속 정부의 통상 대응 역량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이른바 '차·포' 다 떼고 잇몸으로 부딪히는 승부수다.
한국 자동차산업의 수출 위기 돌파는 이제 정부가 내놓을 혜안에 달렸다. 트럼프는 맘 편히 웃고 있다. 정부는 국익 보호를 위해 어떤 반전 카드를 준비했는가.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