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테일 기술 선도 기업 솔루엠(SOLUM)이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사진은일본 최대 유통·소매업 디지털 전환(DX) 기술 전시회인 '리테일테크 재팬 2025'( RETAILTECH JAPAN 2025)에 마련된 솔루엠의 부스 모습. /사진=솔루엠 제공
글로벌 리테일 기술 선도 기업 솔루엠(SOLUM)이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사진은일본 최대 유통·소매업 디지털 전환(DX) 기술 전시회인 '리테일테크 재팬 2025'( RETAILTECH JAPAN 2025)에 마련된 솔루엠의 부스 모습. /사진=솔루엠 제공


글로벌 리테일 기술 선도 기업 솔루엠(SOLUM)이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솔루엠은 5일 일본 최대 유통·소매업 디지털 전환(DX) 기술 전시회인 '리테일테크 재팬 2025'( RETAILTECH JAPAN 2025)에 참가해 최신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매장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리테일테크 재팬은 ▲POS 시스템 ▲데이터 분석 ▲매장 운영 효율화 등 최신 리테일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로 7일까지 나흘 동안 도쿄에서 열린다. 올해 전시회에는 261개 기업이 참가하며 인공지능(AI)과 데이터 분석, 정보기술(IT) 솔루션을 중심으로 약 8만명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솔루엠은 전시에서 전자 가격표시기(ESL)를 중심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와 비전 AI,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미래형 리테일 환경을 제시했다. ▲대형 마트 ▲통신업체 ▲생활용품 매장 관계자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전시에서 고객의 성별과 연령대를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인 스마트 디스플레이는 큰 관심을 받았다. 사진은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체험해 보는 고객들의 모습. /사진=솔루엠 제공
전시에서 고객의 성별과 연령대를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인 스마트 디스플레이는 큰 관심을 받았다. 사진은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체험해 보는 고객들의 모습. /사진=솔루엠 제공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비전 AI 기반 스마트 디스플레이였다. 고객의 성별과 연령대를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로 예를 들어 40대 여성이 카메라를 응시하면 AI가 이를 감지해 안티에이징 크림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이다. 일본 현지 언론도 솔루엠에 대해 "일본 유통 시장을 혁신할 기술력을 갖춘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매장 운영을 지원하는 솔루션도 높은 관심을 받았다. ESL 태그의 버튼을 누르면 제품의 잔여 재고를 즉시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와 연동하면 고객이 원하는 제품의 위치를 매장 지도에 표시하고 해당 제품의 ESL 태그에 LED 불빛을 점등해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Power Rail' 기술은 태양광이나 매장 조명을 활용해 ESL을 구동함으로써 일회용 배터리 사용을 줄이고 전력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향후 솔루엠은 이를 통합 플랫폼 형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SSP'(Solum Solution Platform)를 통해 매장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 분석과 빠른 의사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매장 관리자는 하나의 대시보드에서▲매출 ▲잔여 재고 ▲매대 혼잡도 ▲리테일 미디어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 주목할 점은 솔루엠의 현지 파트너십 전략이다. 일본 ESL 시장은 외국 기업의 단독 진입이 까다로운 시장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업계 전문가들은 현지 이해도가 높은 대형 SI(System Integrator) 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솔루엠은 비프로지와 아이닉스 같은 현지 파트너들과의 오랜 기간 협력해왔으며 세 회사는 현지에 맞는 유통 솔루션 개발을 골자로 솔루엠은 ESL을 비프로지는 유통 맞춤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그리고 아이닉스는 창고관리시스템과의 연계나 핸디 터미널 활용 등의 재고 관리 효율화 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2023년 설립된 솔루엠 일본법인은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 시장에서 매출 100% 성장을 기록했으며 일본 1위 대형마트와 대형 홈센터, 주요 드럭스토어 등에서 솔루엠의 ESL을 채택했다. 이밖에도 다수의 기업과 POC(시범사업)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