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청사 전경. /사진제공=구리시
구리시청사 전경. /사진제공=구리시


GH(경기주택도시공사) 이전 논란이 정치권과 지역사회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구리시가 최근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해당 보도가 백경현 시장이 GH 이전 중단 사태와 관련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침묵하고 있다는 취지로 작성됐으나, 이는 명백한 사실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시는 "지난 2월 실시한 '2025년 시민과의 대화'는 매년 시장이 각 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지역 현안과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답하며, 주민과 직접 소통하는 자리로 특정 사안을 홍보하기 위한 행사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다만 "시민들이 서울 편입에 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서울 편입 시 예상되는 혜택이나 자신의 거주 지역에 미칠 영향을 궁금해 해 사전에 질문된 것으로 시에서는 서울 편입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 대한 설명을 진행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구리가 서울 되는 범시민 추진위원회, 구리∼서울 통합추진위원회는 모두 서울 편입을 원하는 시민들이 모여 자발적으로 구성한 시민단체로 시에서 주관한 행사가 아닌 시민들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행사라고 설명했다.


시는 경기도의 GH 이전 중단 발표에 관련해 '납득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시는 "지난해 9월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 기자회견에서 김동연 지사는 GH 이전을 포함한 공공기관 북부 이전을 약속대로 진행한다고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또 시는 이 같은 발표 이전에도 "이미 구리가 서울 되는 범시민추진위원회가 활동하는 등 서울 편입 얘기가 있었고 2023년 11월 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립과 관련해 행정구역이 변경돼도 경기도는 협약에 따라 GH 이전 계획을 그대로 추진할 것이라고 회신했다"고 덧붙였다.

시는 그동안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전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경기도-구리시-GH공사 간 협약'을 체결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GH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대안 마련과 해결을 위해 9차례의 회의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왔다고 밝혔다.

이에 시는 GH 이전과 관련한 용도지역 변경 등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추진해, 경기도 도시계획(분과)위원회 심의를 조건부 통과하는 등 행정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갑작스럽게 GH 이전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