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중남미 등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산 불매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미국 관세 부과 대응으로 온타리오주 주류 통제위원회(LCBO)가 미국산 술을 수거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캐나다, 중남미 등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정책과 관련해 미국산 불매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현지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미국 관세 부과 대응으로 온타리오주 주류 통제위원회(LCBO)가 미국산 술을 수거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관세 정책과 관련해 전 세계에서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각)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더그 포드 캐나다 온타리오 주지사는 4일 관내 모든 매장에서 미국산 주류를 철거하라고 명령했다. 이는 테네시 사워 매시 위스키, 텍사스 보드카, 켄터키 버번, 캘리포니아 와인 등이 판매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 온타리오 주 정부가 운영하는 주류 공기업 '온타리오주 주류 통제위원회(LCBO)'는 캐나다 내 약 680개 직영 매장과 389개 대리점에서 미국산 주류를 수거했다. 이 회사 미국이 캐나다에 대한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해 미국산 주류 구매·판매를 중단했다.

포드 주지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운영 중인 스페이스X와 체결한 1억달러(약 1450억원) 규모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계약 취소와 온타리오에서 뉴욕·미시간·미네소타의 150만명에게 보내는 전기에 25% 수출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포드 주지사는 "우리는 미국이 고통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며 "미국산 제품 구매를 중단하라"고 말했다.


중남미에서도 미국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프랑스 매체 월드 크런치에 따르면 한 콜롬비아 작가는 라틴 아메리카인은 트럼프의 광기를 멈출 수 있다"며 "코카콜라와 환타, 맥도날드, KFC, 오레오, M&M 등 우리를 침략한 미국 제품을 콜롬비아 브랜드로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