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주총 앞둔 솔루엠 '꼼수 행보'에 소액주주 '부글 부글'
소액주주연대 지분 5.23% 확보해 주주제안..."전자투표제 도입도 비용 핑계로 미뤄"
김성아 기자
1,824
2025.03.17 | 15:31:32
공유하기
|
솔루엠과 소액주주의 갈등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솔루엠이 최근 상장 후 처음으로 자사주 소각을 단행한다고 발표했지만 시장 반응은 냉담했다. 자사주 소각은 일반적으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지만 이번 조치로는 신뢰를 잃은 소액주주들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솔루엠 주가는 자사주 소각 공시가 나온 지난 13일, 전일 대비 0.5% 하락한 1만7710원에 마감했다. 100만주 규모(약 194억원)의 자사주 소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떨어졌다.
그동안 솔루엠 경영진은 소액주주들의 주주가치 제고 요구에 미온적으로 대응했다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소액주주 연대는 이번 주총에서 ▲집중투표제 도입 ▲자기주식 소각 권한 추가 ▲권고적 주주제안 신설 ▲전자적 방식에 의한 의결권 행사 의무화 ▲주주총회 보수심의제 신설 등을 제안했다.
솔루엠이 소액주주의 주주행동을 의도적으로 방해한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소액주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액주주 연대는 주주총회를 앞두고 주주권익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주주명부 열람과 전자적 방식의 의결권 행사 도입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사실상 거부했다.
소액 주주들이 주주명부 열람을 통해 다른 주주들과 공동 대응하려고 했으나 무산된 것이다. 상법 제396조는 주식 수나 명분에 관계없이 주주는 누구나 주주명부 열람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솔루엠은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주주명부의 주소를 읍·면·동까지만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진다. 과거 GS건설과 삼성물산을 상대로 경제개혁연대가 제기한 소송에서 대법원이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는 주주 성명과 주소, 주식 종류와 수량에 한정되며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위반되지 않아 이를 이유로 주주명부 열람을 거부할 수 없다"고 판결한 것과 배치된다.
일부 주주들은 솔루엠이 주총까지 소액주주들의 결집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주주명부 제공을 지연시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한다. 한 주주는 "PDF 파일로 주주명부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시간을 끌더니 결국 '주소 일부를 가린 후 본사에서 직접 열람하라'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솔루엠이 의결권 대리행사 대행업체를 고용해 개별 주주들에게 위임장을 확보하고 있어 주주들이 반발하고 있다. 또 다른 주주는 "사측이 대행업체를 고용해 주말에도 주주들을 일일이 찾아가 위임장을 받고 있다"며 "주주연대의 결속을 분산시키고 사측에 불리한 주주제안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주총을 앞두고 대주주나 경영진이 의결권 확보를 위해 위임장을 받을 수 있지만 소액주주들의 주주 열람은 저지하면서 대행업체를 동원해 주주 개별 접촉을 시도하는 것은 옳지 않은 행태라는 시각이 많다.
소액주주들은 주총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전자투표제 도입도 솔루엠은 미루고 있다고 본다. 전자투표제는 주주들이 직접 주총에 참석하지 않고도 온라인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지난해 2~3월 주총을 개최한 코스피 상장사 중 72.3%가 전자투표를 도입했다.
솔루엠은 비용 부담(약 130만원)과 낮은 투표율을 이유로 전자투표 도입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업계에선 솔루엠이 전자투표를 꺼리는 진짜 이유가 '소액주주들의 반란' 가능성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주가가 부진한 현 상황에서 소액주주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조직적으로 결집해 사측의 주총 안건에 반대표를 행사하거나 주주 제안에 찬성하는 경우 경영진에게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솔루엠이 오는 28일 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것도 논란이다. 이날은 금융감독원이 사전 지정한 '주총 집중 개최일'(슈퍼 주총 데이)이다. 주총 쏠림 현상은 주주들의 원활한 의결권 행사를 어렵게 만들어 특히 개인 소액주주의 권익을 훼손하는 주범으로 지적돼 왔다.
한편 지난 17일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에 따르면 솔루엠 소액주주연대는 총 816명이 참여해 261만5290주(5.23%)의 지분을 확보했다. 이는 지난해 9월30일 기준 최대주주 ▲전성호 대표(15.7%)를 비롯해 ▲국민연금(7.04%) ▲VIP자산운용(5.63%)에 이어 네번째 규모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