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반도체는 이번 대상에서는 제외돼 관련 기업들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사진은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라인. /사진=삼성전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반도체는 이번 대상에서는 제외돼 관련 기업들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사진은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라인. /사진=삼성전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한국 반도체는 대상에서 제외돼 우선 한숨은 돌렸다. 다만 미국 정부가 반도체에도 최소 25%의 품목별 개별 관세를 예고해 관련 기업들은 결국 수십%에 달하는 관세 영향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3일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각 2일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반도체는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 뺐다.

백악관은 "이번에 발표한 상호관세가 반도체와 철강, 알루미늄 등 일부 품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국 반도체의 대미 수출 비중은 7.5%로 중국(32.8%), 홍콩(18.4%), 대만(15.2%) 등보다 상대적으로 적지만 여러 나라를 경유해 반도체를 제조하고 있어 상호관세 적용 범위와 기준에 따라 관세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반도체 제품이 빠지면서 반도체 업계는 단기적으로 부담을 덜게 됐지만 결국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수십%에 달하는 대미 수출 관세를 내야할 처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타국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최소 25% 이상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25%가 최소 수치인 것을 감안하면 관세 부과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백악관은 반도체가 이날 발표된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배경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별도의 산업별 관세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의 구체적인 적용 범위와 기준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첨단 반도체 생산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만큼 반도체 대체제가 없어 품목별 관세가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는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는 지난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과 회동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관세 조치에 대한)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 조치를 긴급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