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건설 지방사업 비중 30~40%, 30위권 50~60% '위험'
중소·중견 건설사 유동성 리스크 확대
장동규 기자
3,274
공유하기
|
2021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고금리 여파로 지방 주택경기 침체가 3년 반째 이어지며 중소·중견 건설사의 현금 유동성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란 신용평가업계의 전망이 나왔다.
NICE(나이스)신용평가는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NICE CREDIT SEMINAR 2025'를 개최했다.
정성훈 NICE신용평가 기업평가4실장은 "지방 부동산 시장이 단기 회복하기 어려운 구조에 진입했다"며 "아파트 미분양 누적과 입주 대기 물량이 중소 건설사의 재무건전성에 심각한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은 2만1000가구로 80%가 지방에 집중돼 있다.
건설사의 규모별 사업 구조를 보면, 시공능력 10위권 내 대형사의 지방 사업 비중은 30~40% 수준인 반면 11~30위권 건설사는 50~60%에 달했다.
정 실장은 "시공능력 30위권 이하 하위 건설사의 지방 편중은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시장 충격 시 회복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건설사들의 재무 부실 위험도 커졌다. NICE신용평가는 2023년 이후 부실 처리된 자산 1500억원 이상 건설사 10곳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부채비율은 평균 393.2%를 기록했다. 10개 건설사의 최근 3년 동안 부채비율은 ▲2022년 179.3% ▲2023년 234.3% ▲2024년 393.2%로 지속해서 상승했다.
올 들어 국내 건설사 9곳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지난 1월 신동아건설(시공능력 58위)을 시작으로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삼정기업(114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이화공영(134위)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충북 시공능력 2위 건설사 대흥건설도 법정관리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정 실장은 "준공 후 미분양 증가로 자금 경색이 심화돼 중소 건설사의 도산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며 "유동성 선제 지원과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정책당국의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동규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장동규 기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