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와 비고령 운전자의 돌발 상황 대처 능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고령 운전자와 비고령 운전자의 돌발 상황 대처 능력에 큰 차이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도로에서 돌발 상황 발생 시 고연령층 운전자의 반응속도가 비고령 운전자 보다 최대 1.1초 느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령 운전자 안전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교통안전 인식 조사', 고령·비고령 운전자 34명을 대상으로 한 '시내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시험' 결과도 포함됐다.

시뮬레이션 시험 결과 앞 차의 급정거 상황에서 고령자의 반응 속도는 3.56초로 비고령자(3.09초)보다 0.47초 늦었다. 불법주차로 인해 시야가 제한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갑자기 튀어나와 횡단하는 상황에서는 고령자(2.28초)가 비고령자(1.20초)보다 1.08초 늦게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속 50㎞로 주행하는 차의 운전자가 돌발 상황서 브레이크를 1초 늦게 사용하면 약 14m를 더 주행한 뒤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만큼 교통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지적이다.

다만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가 갑자기 진입하는 상황에서는 고령자(1.13초)와 비고령자(1.11초)의 반응속도 차이가 0.02초로 조크지 않았다.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통안전 인식 조사 결과의 경우 182명(60.7%)은 '고령 운전자가 비고령 운전자보다 교통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더 높다'고 판단했다. 그 이유(복수응답)로는 ▲판단력이나 반응속도 저하(174명·95.6%) ▲시력 저하(72.5%) ▲운동신경 저하(65.9%) 등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국은 고령 운전자의 느린 반응속도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차에 비상자동제동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장착된 차는 극히 제한적이다.


고령 운전자는 비고령 운전자보다 신체 반응이 늦기 때문에 돌발 상황서 당황해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혼동할 수 있다. 이때 급히 정지하기 위해 페달을 강하게 밟으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는 차의 레이더가 전·후방 차·벽 등을 인식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을 혼동해 브레이크 대신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 엔진출력을 억제해 급가속을 방지하는 장치다. 지난해 7월 현대자동차의 캐스퍼 일렉트릭에 처음 탑재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관계부처와 이번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고령자 보호를 위해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가 설치된 차의 제조 확대 방안 마련, 차 안전기술(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등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과 교통안전에 대한 교육 강화를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