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운임 뛰어도 국가경쟁력 지장 없다"
해운협회 "국가 물류비 252조, 해상운송비는 9.1조로 3.6% 불과"
김창성 기자
5,549
공유하기
|
한국해운협회가 해운운임 상승이 국가 경쟁력을 약화 시킨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해운협회는 국가물류비 가운데 해상물류비 비중 및 한국과 일본의 해상운송비 비교를 통해 반박 근거를 제시했다.
11일 해운협회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국가 해상물류비 산정 연구'를 통해 한국 국가물류비를 심층 분석한 결과다.
해운협회는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상운임이 급격히 상승했을 때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일각의 인식과 한국이 일본에 비해 해상운송비가 높다는 일부 국가물류비 조사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가 시행됐다고 설명했다.
해운협회는 기존 조사에서 사용한 수상화물수송비 통계를 수정하는 등 새로운 방식으로 해상운송비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20년 기준 국가물류비 약 252조원 가운데 해상운송비는 9조 1694억원으로 3.6%에 불과했다. GDP(국내총생산) 대비 비중도 0.5%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해운협회는 "해상운임 상승이 한국의 수출 경쟁력 약화의 원인이라는 일부 주장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해운협회는 한국과 일본의 1톤당 수송비를 새롭게 산출해 비교한 결과도 공개했다. 한국의 해상운송비는 1만1861원, 일본은 2만655원으로 집계돼 한국이 일본대비 1톤당 8794원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이 비컨테이너선 화물(석유·화학제품 등)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일본은 가공품 위주의 화물(철강 제품, 자동차 등) 비중이 높아 일본이 상대적으로 1톤당 비싼 운송비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해운협회는 한국과 일본의 대륙별 컨테이너 운송비용(TEU/달러)도 비교했다. 한국의 경우 아프리카(1277달러), 유럽(1269달러), 아메리카(2084달러), 아시아(721달러), 오세아니아(1440달로) 등으로 분석됐다.
일본의 경우 아프리카(1710달러), 유럽(1416달러), 아메리카(2635달러), 아시아(723달러), 오세아니아(1263달러)로 분석돼 한국이 일본보다 오세아니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운송비가 쌌다.
양창호 해운협회 부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해운산업이 한국 국가물류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해 자칫 해상운임 상승이 한국 경제를 약화시킨다는 오해가 해소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해상운송비가 인접 국가인 일본보다 싸고 국적외항선사가 한국 수출입화주를 위해 타국보다 경쟁력 있는 운임을 제공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