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김은옥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4월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연 2.75%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트럼프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와 소비 부진에 원/달러 환율이 언제 오를지 안심하기 어려워서다. 일각에선 경기 하방 압력 우려에 '깜짝 금리인하' 가능성이 배제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17일 금통위를 열고 4월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후, 올해 2월에도 기준금리를 기존 연 3.00%에서 0.25%포인트 내렸다. 기준금리는 2022년 10월11일(2.50%) 이후 2년 4개월여 만에 2%대에 진입했다.

전문가들이 기준금리 동결을 내다보는 이유는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다. 이달 1일(1471.9원)에 마감한 환율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서 1434.1원까지 떨어졌다.


이후 미·중 관세전쟁 격화하면서 9일에는 1484.1원까지 상승하며 금융위기 시절이던 지난 2009년 3월12일(1496.5원) 이후 약 16년 만에 최고치 기록한 후 지난 11일 1449.9원에 마감하며 이틀 만에 35원 가까이 떨어졌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불확실성이 크다"며 "미국보다 한국이 먼저 금리를 낮출 경우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질 수 있는 만큼 한은의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 리스크에 롤러코스터 타는 환율… 토허제 발표 후 가계부채 불안

서울 외환시장에선 미국이 90일 관세 유예 조치를 내리면서 원/달러 환율 추이를 내다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충격에 따른 성장률 하락 우려는 올해보다 내년에 더 커질 것으로 본다"며 "긴급한 금리 인하보다 향후 확장 재정 시점과 맞추는 금리 인하 경로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계부채도 한은의 금리인하 발목을 잡는다. 한은과 금융당국은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3월 재지정에 따른 가계부채 변동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이 기간 늘어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2분기 가계부채 급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3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증가했다. 전월(4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감소한 수치다. 특히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폭은 2조2000억원으로 전월(3조4000억원)보다 1조2000억원 줄었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원에서 7000억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은 3조4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많이 감소했다. 제2금융권도 가계대출 증가 폭이 마이너스 1000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요동치는 환율과 토허제에 따른 가계부채 민감도, 수도권 풍선 효과를 점검하며 과도한 통화 완화 기대 유입을 통제할 것"이라고 봤다.

일각에선 경기 하방 압력을 우려해 한은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관세 충격으로 금통위원들이 국내 경제성장률 대폭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주요국 중앙은행들도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해 잇따라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인도 중앙은행은 지난 9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연 6.25%에서 6%로 인하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오는 17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동결을 예상하지만, 금통위 시점에 원/달러 환율이 더 내려오면 깜짝 인하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며 "경기 둔화 압력이 커지면서 상황이 급박하기 때문에 금리 결정에 정치적 해석이 나올 우려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