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사업자별로 따로 운영하던 공공임대주택 청약시스템을 일원화해 입주 희망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국토교통부가 사업자별로 따로 운영하던 공공임대주택 청약시스템을 일원화해 입주 희망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국토교통부가 사업자별로 따로 운영하던 공공임대주택 청약시스템을 일원화한다. 그간 다양한 임대주택 유형과 복잡한 절차로 혼란을 겪던 입주 희망자들의 불편함이 해소될 전망이다.


2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방주택도시공사들과 '대기자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대기자 통합시스템'은 사업자별로 따로 운영되던 공공임대주택 청약시스템을 일원화하는 온라인 시스템이다.

지금까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공공주택사업자별로 사이트를 두고 임대주택사업을 운영했다. 같은 공공주택지구의 임대주택 물량이더라도 공급 주체에 따라 신청하는 사이트가 달랐다.


통합시스템에서는 서류를 일정 기간 저장할 수 있도록 해 기존의 번거로움을 해결한다. 개인별 입주 희망 자격 정보를 바탕으로 신청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 예정이다.

개개인이 지자체·사업기관·유형별 세부 요건을 일일이 비교하지 않아도 본인이 신청할 수 있는 임대주택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국회는 지난 1월 본회의에서 대기자 통합시스템 도입의 근거가 되는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8월 개정법 시행에 맞춰 시스템을 위탁 운영할 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LH나 한국부동산원 등이 검토되고 있다. 시스템 구축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돼 2027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