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야 자전거정책을 하죠"… 공무원 전문교육 '페달링'
한국자전거정책연합, 담당 공무원 대상 원스톱 교육
박정웅 기자
공유하기
![]() |
자전거인구 1500만명 시대, 자전거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전문가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사단법인 한국자전거정책연합은 23일부터 25일까지 제주에서 자전거정책 전문가 교육과정을 진행한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교육은 전국의 지자체 자전거담당 공무원 및 관련 업무 담당자가 대상이다.
한국자전거정책연합에 따르면 교육 과정은 실무에 필요한 내용들로 12개 과목으로 구성됐다. ▲자전거입문 ▲자전거관련 법률 ▲자전거와 지역경제 ▲자전거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 현장실습 ▲자전거이용 활성화계획 수립요령 ▲ 자전거와 탄소중립 등이다.
강사진은 자전거 관련 연구와 실무경력이 20년 이상인 전문가들이다. 이재영 박사(한국자전거정책연합 회장), 오수보 대표(자전거21 대표), 정경옥 박사(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우훈 박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태원 교수(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 등 국내 권위자들이 강사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 |
교육과정을 개설한 이재영 한국자전거정책연합 회장은 "자전거가 기후위기 대안이라고 하지만 투자는 상대적으로 매우 소극적"이라며 "도로 예산이 한 해 8조원을 넘어설 때 자전거 예산은 50억원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만 아니라 정책방향의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10년 이후 자전거도로 연장은 2배가 되었지만 자전거분담률은 2021년 기준 1.5%로 오히려 낮아졌다"며 "방향의 전환이 필요한데 전문가들이 나서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고 덧붙했다.
교육에 참가한 지자체 공무원 A씨는 "순환근무로 인해 자전거업무를 알고 적응할 시간도 없이 자전거정책을 계획하고 시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컸었다"며 "특히 정책을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하는 관련법 뿐 아니라 계획, 도로의 설계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행정안전부가 후원한 이번 교육에는 각 지자체에서 90명의 공무원이 참여했다. 참가자의 95%가 교육내용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정웅 기자
안녕하세요, 박정웅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