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장 아냐… 한미협정 개정도 검토" 한동훈의 핵 정책 방향은
김서연 기자
공유하기
![]() |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캠프가 24일 외교안보 정책 발표 직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 '핵 잠재력' 정책 방향과 국제 협정 해석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혔다.
캠프 측은 핵무기 개발이 아닌 평화적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 또는 비미국산 기술 활용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핵정책에 있어 '핵무장'보다 '기술 자립'을 중심으로 실용적 전략을 추구하고 있음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건 국민먼저캠프 외교위원장 "'핵 잠재력'은 핵무장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세계 5위 원전국으로서 원자로 핵연료 생산과 사용후 연료 처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미 원자력 협정을 개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미국과의 합의 아래 허용 범위를 조정하거나 미국산이 아닌 핵물질을 사용할 경우 적용을 회피하는 기술적 경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남북 비핵화 공동선언과의 충돌 우려에 대해서는 "해당 선언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다"며 "북한의 반복적 위반으로 사실상 실효성이 없다. 한국의 평화적 핵활동을 제약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캠프가 제시한 '경제나토' 구상과 관련해선 "구체적 대상국은 외교적 민감성을 고려해 밝힐 수 없다"면서도 "특정 국가의 경제적 강압에 공동 대응하는 자유무역 연합이며 CPTPP와 STTTP 등 기존 다자무역 체제를 확장하는 방식도 고려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