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과 전월세 가격의 급등으로 청년 주거 부담이 커지면서 ‘청년안심주택’의 수요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사진은 4월29일 서울 동작구 청년안심주택 신축공사 현장의 모습 /사진=이소연 기자


서울시 대표 주거복지정책인 '청년안심주택'의 3순위 청약자를 대상으로 당첨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수혜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3일 접수를 마감한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의 청약경쟁률은 최종 41.9대 1을 기록했다. 강남·용산 등 입지가 좋은 지역의 경쟁률은 100대 1을 넘겼다.

시세 대비 임대료가 낮은 청년안심주택은 수요가 많아도 기회가 제한된 구조로 공급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청년안심주택 공공부문은 수급 여부와 소득·자산 등에 따라 입주 우선 순위를 1·2·3 순위로 구분한다.


서울시 산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개한 2024년 청년안심주택 서류심사대상자 커트라인 분석에서 1·2·3차 청년 공급 유형 124곳 중 3순위 당첨자가 나온 곳은 5곳(4.0%)에 불과했다.

지난해 SH공사 2차 청년안심주택 예비합격자로 선정된 직장인 이모씨(32)는 "총 4명을 선발하는 주택에 지원해 예비번호 19번을 받았다"며 "2차 발표에서 8번까지 도달했지만 유효기간이 6개월 남아 포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3순위 내에서도 생활 여유가 다르기 때문에 기준에 대한 세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도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원석 서울시 전략주택공급과장은 "청년안심주택은 취약 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경쟁률이 높아서 수혜 대상을 더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월세 평균 '70만원'… "3순위 청약자도 주거비 부담"

부동산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다세대·연립주택(빌라) 원룸(전용면적 33㎡ 이하)의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70만원으로 전월 대비 4.6% 상승했다. /자료 제공=다방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는 공공·민간임대주택이다.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 등에 시세의 30~70% 수준으로 임대한다. 민간임대도 특별공급 기준 시세 대비 75%, 일반 공급 85% 수준에서 임대료가 책정된다.


청년 세대의 서울 주거비 상승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다세대·연립주택(빌라) 원룸(전용면적 33㎡ 이하)의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70만원으로 전월 대비 4.6% 상승했다. 평균 전세 보증금은 2억902만원으로 전월보다 367만원 올랐다.

자치구별로 강남구의 평균 월세가 가장 높은 90만원을 기록했고 이어 ▲서초·성동·용산(82만원) ▲금천·중랑(77만원) ▲마포(73만원) ▲은평(72만원) ▲영등포구(71만원) 순으로 월세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주거비 부담의 현실은 3순위로 분류된 청년들도 예외가 아니다.

서울에서 인턴으로 일하는 이모씨(24)는 "청년안심주택 지원자격 기준으로 3순위에 해당하지만 부모님에게 지원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주거비를 내면서 서울 생활하기가 막막하다"고 호소했다.

그럼에도 청년 세대의 서울 집중 현상은 지속된다. 2022년 서울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9세 이후 서울로 이주한 청년은 34.2%였다. 지방의 일자리와 인프라 부족 문제는 청년들의 서울 유입을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부산 출신 3순위 지원자 이승철씨(30)는 "중견기업 이상에 취직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부산에는 질적으로 좋은 일자리가 적다"며 "상경 초기 집을 구할 때 소득이 없어서 대출도 받지 못해 보증금이 작고 월세가 높은 방에서 지냈다"고 말했다.

또 다른 3순위 지원자 신모씨(26)는 "청년안심주택에 2번 이상 지원해서 탈락했다"며 "더 어려운 사람에게 주택을 제공해야 하는 건 맞지만 서울에 살고자 하는 청년들이 많고 그에 비해 청년주택은 너무 적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공급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차상위계층 등을 우선 지원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서 수혜 대상을 넓히려면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해 기부채납을 늘리는 방식으로 임대주택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원석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청년안심주택과 같은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했을 때 지역 주민의 반대도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서울시가 더욱 명확한 정책 기조를 갖고 공급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