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기준금리 3연속 동결… 파월 "관세 불확실성 극심"
이지운 기자
1,826
공유하기
![]()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고율 관세가 시장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가운데 연준은 통화정책의 방향을 섣불리 바꾸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연준은 원칙을 고수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7일(현지시각)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1월, 3월에 이어 세 번째 동결 조치다. 이날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FOMC는 성명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으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모두 상승 위험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관세 정책이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준은 무역과 관세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순수출의 변동이 최근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고 표현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관세 정책이 통화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관세 인상이 지속된다면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기 둔화, 고용시장 위축 등 복합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책 결정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적용될지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지금은 인내심을 갖고 경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3월 "관세 영향은 일시적(transitory)"이라고 진단했던 것과는 달라진 톤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 대해서도 파월 의장은 선을 그었다. 그는 "정치적 압박은 연준의 업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우리는 미국 국민을 위한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위해 수단을 사용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여부에 대해서는 "직접 만남을 요청한 적도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일축했다.
이날 연준은 금리 경로를 가늠할 수 있는 경제전망요약(SEP)과 점도표는 업데이트하지 않았다. 지난 3월 기준으로는 올해 중 두 차례(총 0.5%포인트)의 금리 인하가 점쳐졌지만 최근 관세 충격과 물가 상승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인하 시점은 뒤로 밀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시장에서는 6월 회의에서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유니크레딧의 이코노미스트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 시한이 7월 8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연준이 6월까지 정책 방향을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9월 이전 금리 인하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1분기 미국 GDP가 –0.3%를 기록하며 역성장한 데 대해 파월 의장은 "기업과 소비자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수입을 앞당긴 영향"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2분기에는 이 현상이 반대로 작용해 통계상 수입이 줄어들면서 GDP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지운 기자
머니S 증권팀 이지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