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팹리스 첨단장비 공동이용사업 유치…451억 규모
경기=남상인,
경기=김동우 기자
공유하기
![]() |
경기도가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핵심 축인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경기도는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팹리스기업 첨단장비 공동이용지원 사업'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도는 2027년까지 3년간 국비 322억원을 확보하는 쾌거를 이뤘다.
최근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등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이 급증하는 가운데, 경기도는 팹리스 기업의 혁신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이번 공모에 참여했다. 특히 중소 팹리스 기업이 자체적으로 구매하기 어려운 고가의 설계 성능 검증 장비를 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구축하고, 기업들이 저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팹리스 산업 지원 경험과 역량을 갖춘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을 주관기관으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성남산업진흥원이 참여한다. 경기도는 성남시와 협력해 지원기관으로 참여해 3년간 지방비 약 50억원(도 15억원, 시 35억원)을 투입한다.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는 320억원대 국비를 비롯해 지방비 50억원과 참여기관 현물 79억원을 포함한 총 451억원의 팹리스 지원시설을 유치하게 됐다. 또한 지난해 9월 제2판교 테크노밸리에 문을 연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센터'에 첨단장비를 구축하게 돼 기존 센터와 연계, 기업지원 효과를 끌어 올릴 수 있게 됐다.
사업 내용은 고성능 AI 등 첨단 시스템반도체 설계검증 컴퓨팅 환경 구축,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성능검증 계측 환경 구축,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 등이다.
시제품 제작 전 반도체 칩 설계 단계의 오류 최소화를 위해 가상의 환경에서 실제 동작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 등을 구축한다. 시제품 제작 후 웨이퍼 수준에서 성능평가와 AI반도체에 요구되는 초고속 인터페이스 신호분석을 위한 장비를 마련한다.
장비는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중견 팹리스 기업은 제품 개발을 위한 기간 단축 및 경제적 부담을 크게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경기도에 위치한 기업에게는 타 시․도 대비 약 30%의 이용료 할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성호 미래성장산업국장은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의 AI 반도체 기업을 포함한 팹리스 기업이 세계적으로 한층 더 성장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기=남상인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경기=김동우 기자
머니s 경기인천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동우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