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6일 충남 천안시 신세계 백화점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공동취재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세종 국회의사당 예정부지를 찾아 세종 중심 행정수도 비전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세종이 진정한 행정수도로 기능하려면 대통령 통합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완전 이전이 선결돼야 한다"며 ~~를 했다. 다만 관련 공약의 실현 가능성과 예산 부담, 수도권 정치권의 반발 등 현실적 장애물에 대한 구체적 해법은 제시하지 못했다.


김 후보는 "이 땅을 와보니 통합집무실도, 국회의사당도 충분히 들어설 수 있다"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국무회의도, 본회의도 세종에서 열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추진 중인 세종 제2집무실과 국회의사당 이전 계획을 기존 2032년에서 2029년으로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최민호 세종시장, 양향자 전 의원 등도 함께 유세에 나섰다.

이준배 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당위원장은 이날 행사에서 국회의사당 이전 사업의 구체적인 경과를 보고하며 "통합집무실 역시 국가상징구역 내에 청와대 규모로 건립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며 정부의 행정수도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충청권 고속철도망 구축까지 약속했다. "대전-세종-청주공항을 잇는 'CTX'를 신설해 시속 180km로 연결하겠다"며 "지금은 세종에 철도 연결이 안 되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다. 교통이 해결돼야 공무원도 시민도 이주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후보는 "국가 주요 5개 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한글박물관과 세종학당 등도 세종으로 옮기겠다"고 밝히며 행정기관 이전 구상도 제시했다. 다만 정부 내 부처 간 협의 또는 법률 개정 수반 여부는 설명되지 않았다. 과거 수도이전 시도는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좌절된 바 있다.


이날 현장에서는 철도망 부족, 민간 기업 유치 부진, 공무원 이주율 정체 등 세종시의 구조적 한계에 대한 질문에는 김 후보는 "연구소, 대학 유치 등은 시민과 시당이 함께 논의해 해결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