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챙긴 김문수… "문화정책 패러다임, 지역으로 전환"
한국예총과 정책협약… 민간예술 법적 기반 마련
"한다면 확실히 한다… 화끈하게 지원"
김동욱 기자
12,527
공유하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다. 민간예술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해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예술활동 증명 기준을 개정하는 게 핵심이다. 지방에서도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도 공약 중 하나다.
김 후보는 20일 오전 서울 양천구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열린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국민의힘 정책협약식'에 참석해 "자립할 수 있는 예술 분야도 있으나 아직은 소수라고 생각한다"며 "조강훈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회장께서 말씀하신 민간예술문화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등은 당연한 말씀"이라고 했다.
조 회장은 앞서 김 후보에게 ▲민간예술분야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 마련 ▲예술활동 증명 기준 개정 및 증명 기관 확대 ▲세계 한인 예술가 대표자 대회 개최 등을 제안했다. 김 후보는 해당 내용을 담은 정책협약서에 서명하며 화답했다.
김 후보는 "어렵다는 이유로 (예술인의 제안을) 방치하거나 외면하는 건 옳지 않다"며 "제안하신 내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한다면 확실히 한다"며 "화끈하게 하지 않으면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는 국내 문화·예술 산업 도약을 위한 공약도 발표했다. 문화정책의 패러다임을 중앙에서 지역으로 전환해 모든 지역을 문화 중심지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지방국립박물관, 민속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등 지역 분관을 설치하고 지역 수요에 맞게 국립미술관 분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권역별 공연 예술 거점 확대와 국립극장·국악원과 연계도 추진한다.
생활문화센터, 동네 공연장 등 지역밀착형 문화공간 확대를 통해 '10분 문화 생활권'을 조성하겠다는 공약도 내놨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용처와 대상을 늘리고 저소득층·청년·장애인 대상 문화누리카드 지원금도 확대한다.
이 밖에 ▲뮤지컬 산업 집중 지원을 통한 세계 3대 뮤지컬 선도 국가 도약 ▲문화이용권(바우처) 확대 및 제도 내실화 ▲ 게임산업 규제 대폭 완화 및 웹툰·애니메이션 산업 융합 지원 ▲정책펀드 확대 및 K공연 콘텐츠·게임 제작비 세액공제 신설 ▲문화예술 분야 AI(인공지능) 적극 활용 등의 공약도 내세웠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동욱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산업 1부 재계팀 김동욱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