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블스플랜2' PD "부정적 비판 여론, 스스로도 인정" [N인터뷰]①
'데블스 플랜: 데스룸' 정종연 PD, 정현규 공동 인터뷰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지난 20일 넷플릭스 예능 시리즈 '데블스 플랜: 데스룸'(이하 '데블스 플랜2')이 총 12회 전편 공개를 마쳤다. '데블스 플랜2'는 지난 2023년 공개됐던 '데블스 플랜'의 두 번째 시즌으로, '더 지니어스' '소사이어티 게임' '대탈출' '여고추리반' '미스터리 수사단' 등의 두뇌 싸움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들을 내놓았던 정종연 PD의 신작이다.
이번 시즌2는 12명의 플레이어로 구성됐던 시즌1과 달리 총 14명의 참가자로 출연했으며, 기존 서바이벌 프로그램들이 1대 1 데스매치 시스템을 선보였던 것과 달리 '단체 데스매치' 시스템인 '데스룸'을 도입하면서 차별화를 시도했다.
참가자들의 면면도 화려했다. AI 알파고와의 바둑 승부에서 인류 바둑기사 중 유일하게 승리를 거뒀던 전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을 비롯해 할리우드 배우 저스틴 H. 민, 카이스트 출신 배우 윤소희, 아나운서 강지영, 연예계 대표 브레인 규현, 프로 포커 플레이어 세븐하이, 카이스트 출신 모델 최현준, 멘사 측정 가능 IQ 최대치인 156을 상회한 인플루언서 정현규 등이 출연한 것.
그렇게 12회까지 펼쳐진 두뇌 싸움에서 14명의 플레이어 중 정현규가 우승을 차지했지만,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게임 과정과 정현규의 플레이에 대한 다소 혹독한 비판들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데블스 플랜2'의 연출을 맡은 정종연 PD와 우승자 정현규는 27일 서울 종로구 북촌로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나 인터뷰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들이 풀어놓는 '데블스 플랜2'의 뒷이야기와 우승 소감에 대해 들어봤다.

-공개된 후 프로그램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있는데, 이를 어떻게 보고 있나.
▶(정종연 PD) 모든 커뮤니티를 보지는 않지만 DM(다이렉트 메시지)을 통해서도 많은 감정을 드러내 주시더라. 그렇게 이런 경로, 저런 경로 통해 듣고 있다. DM을 통해서라면 부모님 안부 물으시는 분들도 계시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시는데, 아무래도 인스타그램에 다시는 거는 커뮤니티에 적는 것보다는 정제돼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감이 다 죽은 것 아니냐는 반응이 많더라.(웃음)
-제작자 입장에서 부정적인 반응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정종연 PD) 이번 시즌의 제일 큰 변화는 감옥동이라고 해서 크게 두 개의 동으로 나뉘어져서 거주 공간이 되어서 2개의 그룹 간의 대결을 큰 주제로 가져가려 했다. 근데 아무래도 감옥동이 감옥매치라는 시스템을 통해서 서사 부여가 잘 돼 있던 반면에 생활동은 그거에 대응하는 대결 시스템이 없다 보니깐그걸 따라가는 서바이벌다운 서사가 부족했다. 그러다 보니깐 감옥매치가 주는 내용에 따라서 생활동이 관심을 못 받는 부분이 있었다.
또 하나는 예를 들어 감옥매치에 대한 보상이 부족하다거나 생활동의 히든 스테이지의 보상이 과하다거나 하는 것을 통해서 '감옥동 플레이어들이 결승전까지 가는 게 힘들다' '상황을 뒤집는 게 여의치 않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제가 보기에도 그런 점이 스스로도 인정이 된다.
하지만 그렇게 설계한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데일리 메인 매치의 성적들이 첫날 잘한 것도 중요하고 둘째 날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역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후반부에 역전이 용이하도록 디자인한다는 건 하고 싶지 않았다. 네덜란드판 '지니어스'에서는 실력이 없는데 살아남다가 후반부에 한 게임 잘해서 결국 올라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각 메인매치의 누적 점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게 과도하다고 느껴졌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균형을 못 맞춘 것도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배신과 거짓말 오직 승리만 바라보십시오'라는 캐치프레이즈처럼 인간의 악한 본성을 끌어내는 예능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정종연 PD) 굉장히 근본적인 질문이다. 한 번도 생각하지 못했던 지점이다. 일단 저는 중요한 갈등과 해소와 대결이라는 측면에서 일부분의 실력이라든가 날카롭게 대결하는 부분도 있는 게 사회와 다르기도 하지만 사회와 비슷하기도 하다. 그래서 정치력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사회적인 능력이 어우러지는 게임이면 어떨까 싶었다. 두뇌게임이라는 게 단순히 수학계산을 잘한다는 것도 좋지만 때로는 언변이나, 마피아 게임을 잘하려면 거짓말을 잘해야 하는 것처럼 또 다른 능력이 필요하다. 우승자는 한 명이니깐, '눈앞에 있는 이득으로 가겠어'라는 능력을 보여준다는가 하는 재미를 주려고 했다. 사회적 공헌에 어떤 의미가 있냐고 말씀하신다면 구실이 없는 것 같다.
<【N인터뷰】 ②에 계속>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